반응형

전체 글 49

【무릎인공관절(전치환술)】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16주 과정

0~7일 ● 목표 - 보조기 착용 후 서기 - 보조기 착용 후 10~30m 통증 없이 걷기 - 환자 스스로 90˚ 이상 무릎 관절 굽힘 - 0˚ 무릎 관절 폄 - 넙다리네갈래근 근력 강화 - 환자가 현 상태에 대해 인지하고 본인의 움직임 능력을 이해하기 ● 주의사항 - 서 있을 때 반드시 보조기를 착용 - 상처 부위의 과한 통증이나 염증 상태 확인 - 무게나 저항을 주는 운동 금지 - 양 발이 땅에 닿고 서 있을 때 무릎을 비틀지 않기 - 말초신경의 감각 저하나 극심한 종아리 통증이나 심한 부종(심부정맥 혈전증), 호흡곤란(폐색전증) 시 반드시 담당의와 상의 ● 물리치료 - CPM을 통해 무릎 굽힘 운동을 진행(0~40˚) - 얼음찜질을 하루에 가능한 많이, 한번 할 때 20분 유지 ● 다리의 기본 위치..

【손목 골절(콜레스골절)】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6주 과정

※ 손목 골절 수술 후 알아두면 좋은 상식 - 손목골절 수술 후 손목의 각도는 수술 직후부터 6개월까지 꾸준히 증가하지만 그 이후에는 증가 속도가 줄어듭니다. - 따라서 조기에 시작한 관절가동범위 운동은 현재 부목으로 인해 굳어있는 손목 관절의 최종 관절 범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운동 요소입니다. - 단, 수술 초기엔 통증이 심하기 때문에 주로 수술 후 1주가 지나고 손목의 각도 운동을 진행합니다. - 운동의 진행 상태는 환자마다 다를 수 있으며 반드시 의사의 소견을 따라주시기 바랍니다. 1~7일 ● 목표 - 통증과 염증 관리 - 손가락, 팔꿈치 관절 등, 인접관절의 관절가동범위 회복 - 가능한 만큼의 능동적 손목운동 - 골절부의 보호와 회복 ● 염증관리 - 부종을 줄이기 위해 붕대의 압박을 유지합니다. ..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수술 후 9개월 시기별 재활운동

※ 후방십자인대 수술 후 알아두면 좋은 상식 - 초기에 뒤넙다리근(햄스트링) 운동을 절대 하지 않습니다. - 이식한 부분의 회복은 12주 정도 걸립니다. - 정강뼈(무릎 아래 뼈, 경골)이 넙다리뼈(대퇴뼈) 뒤쪽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조심합니다. (누운 자세에서 발목에 베개 넣기, 햄스트링 근육 수축하기 등) - 엉덩관절 저항 운동 시엔 반드시 무릎 관절 위쪽(대퇴뼈)에만 저항을 줍니다. - 일반적으로 CPM(무릎 꺽는 기계)는 하지 않습니다.(담당의의 소견에 따릅니다) - 후방 십자인대의 뒤 가쪽이나 가쪽 손상은 다른 가이드라인을 따라야 합니다.(3개월 정도 목발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3~5개월 정도 물리치료나 도수치료를 받으며 관리받는 것이 좋습니다. ※ 수술 후 기본적인 일상생활동작 시작 시기 ..

【테니스/골퍼 엘보】수술 후 재활 운동 12주 과정

1~7일 ● 목표 - 관절 가동범위 증진 - 근 위축 방지 - 통증과 염증 감소 ● 염증, 부종 관리 - 상처 부위 얼음찜질 - 상처 부위의 염증 상태 관찰(부종, 발염감, 발적, 통증의 정도, 손상부의 출혈) ● 근력 운동 (팔꿈치관절을 제외한 인접관절의 운동) 모든 운동은 팔꿈치가 테이블이나 환자의 다리에 고정된 상태에서 합니다. 팔꿈치가 90˚이상 구부려진 상태에서 운동하지 않습니다. (1) 엄지손가락 움직이기(Thumb flexion/extension) 엄지손가락 운동 (2) 손가락 구부리기(Hand/finger tendon glide) 손가락 운동 (3) 손목 운동(Wrist flexion/extension,ulnar/radius deviation) 손목 운동 ● 관절 가동범위 운동 (1) 팔꿈..

【고관절 인공관절】수술 후 2개월 시기별 재활운동 (전방, 측방접근)

1-2주 ● 목표 - 수술한 관절과 손상 부위 보호 - 통증과 부종 관리 - 통증이 없는 범우에서 관절 가동 범위 운동 실시 - 보조기 착용 후 독립적인 움직임 ● 주의 사항 ○ 전방 접근 시 - 고관절의 앞쪽 주머니(Anterior capsule)를 스트레칭하는 운동을 하지 않습니다.(보행 시 다리를 필요 이상으로 뒤쪽으로 젖히지 않습니다) ○ 측방 접근 시 - 다리를 90˚ 이상 들지 않습니다.(굴곡, 굽힘) - 다리를 30˚ 이상 바깥쪽으로 돌리지 않습니다.(외회전, 바깥돌림) - 다리를 30˚ 이상 뒤쪽으로 젖히지 않습니다.(신전, 폄) - 수술 다리를 반대쪽 다리 쪽으로 모으지 않습니다.(내전, 모음) ● 염증 관리 - 상처 부위에 얼음찜질을 합니다. - 다리 밑에 베개나 이불을 넣어 심장보다 ..

【고관절 인공관절】수술 후 재활운동 시기별 정리(후방접근)

1~6주 ● 목표 - 근력 손실 방지 - 관절 가동범위(굴곡, 구부림 - 0~90˚) - 염증과 부종 감소 - 상처 회복 ● 주의 사항 - 바른 자세로 취침합니다.(천장을 보고 누운 자세) - 무릎 밑이 아닌 발목 밑에 베개를 놓아 다리를 심장보다 높게 듭니다. - 바른 자세로 누웠을 때 다리가 모아지지 않도록 다리 사이에 베개를 넣어줍니다. - 양변기를 이용하여 고관절이 90˚이상으로 굽혀지지 않도록 합니다. - 다리를 90˚이상으로 들지 않습니다 - 다리를 안쪽으로 모이지 않습니다. - 다리를 안쪽으로 돌리지 않습니다. ● 퇴원 기준 (일반적인 퇴원 기준이기 때문에 반드시 담당 의사 소견을 따르기 바랍니다.) - 혼자 침상 위에서 움직일 수 있고, 침상 외 이동이 가능할 때 - 문턱이나 낮은 계단을 ..

【무릎 추벽 증후군】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과정 (0~6개월)

0~2주 ● 목표 - 근력 손실 방지 - 관절 가동범위 확보(굽힘 90˚, 폄 0˚) - 염증과 부종 감소 - 상처 회복 ● 주의사항 - 체중을 실을 상태에서 무리한 운동하지 않기 - 상처 부위의 소독 유지 ● 보조기 착용 - 체중을 싣고 돌아다닐 때 항상 보조기를 착용합니다. ● 염증과 부종 관리 - 상처 부위에 얼음찜질을 합니다. - 다리 밑에 베개나 이불 놓아 심장보다 다리가 높게 올려줍니다. ● 보행 - 수술 후 보행이 가능하나 통증이 있는 경우 초기에 목발 보행을 합니다. - 보행 시 반드시 보조기를 착용합니다. ● 근력운동 1) Q-setting 2) 넙다리 네갈래근(대퇴사두근) 등척성 운동 3) 무릎 펴기 운동(Knee extension) 4) 다리들어올리기 (SLR) 5) 중둔근(clams..

【발목 골절】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과정(수술 후~12주 과정)

● 수술 후 재활 운동을 해야 하는 이유 - 관절 가동범위의 회복(관절의 각도) - 2차적인 손상 방지 - 향후 재손상 예방 수술 전 - 최대한 빠르게 병원에 내원하는 것을 권해드리며 손상 측 다리로 걷지 않습니다. - 목발이 있다면 목발을 교육받아 이차적인 손상을 방지합니다. - PRICE의 원칙을 따릅니다. PRICE란? 급성 염좌 손상에 대한 초기 응급처치입니다. - Protection : 다리를 최대한 보호합니다. - Rest : 휴식을 취합니다. - Ice : 얼음찜질로 상처 부위의 부종과 염증을 최소화합니다. - Compression : 손상 부위를 붕대로 감아 압박합니다. - Elevation : 누워 있을 때 다리를 심장보다 높게 들어 부종을 줄입니다. 수술 후 0~2주 ● 목표 - 수술 ..

【회전근개 파열】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과정(수술 후 ~ 24주)

회전근개 파열 관절경 재건술 후 24주 시기별 재활운동 해당 시기에 맞게 운동을 진행하며, 각 시기의 기준을 확인하고 운동을 진행합니다. 각 운동은 담당의나 담당 치료사의 자문을 구하며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1~4주 : 수술 직후 최대 안정 시기 ● 초기 목표 - 수술 부위 보호 - 통증과 염증 감소 - 근육 위축 방지 ● 주의사항 본인의 근육을 사용해 움직이는 행동(능동적 움직임, Active ROM)을 하지 않습니다. - 보조기는 운동할 때만 벗고 항상 착용합니다. - 수술 부위 소독을 합니다. - 수술한 팔로 물건을 들지 않습니다. - 몸 뒤의 물건을 잡으려 팔을 뒤로 뻗지 않습니다. - 땅을 짚고 일어서지 않습니다. ● 운동 전 알아야할 내용 이 프로토콜은 중형파열에 맞춰져 있습니다. 손상 정도에..

【앞십자인대 파열 재건술】 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과정(~4개월)

앞십자인대 재건술 수술 후 시기별 재활 운동 안녕하세요 인체의 기능을 관하라는 기능치료사입니다. 오늘은 무릎 앞십자인대 재건술 수술 후 4개월 시기별 재활 운동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어렵거나 이해 안되는 부분은 언제든지 댓글 달아주세요. 0~2주 수술 초기에 가장 중요한 운동은 무릎을 최대한 펴는 연습을 하는 것입니다. ● 목표 - 통증과 염증 조절 - 상처 소독과 관리 - 초기 적절한 관절 가동범위 확보 - 수동적으로 최대 무릎 폄(신전, extension) 운동 후 유지 - 대퇴사두근의 근위축 방지 - 목발 보행 패턴 교육 ● 통증과 염증 관리 - 다리 아래에 베개나 이불을 대서 심장보다 높게 유지합니다. - 얼음찜질을 합니다.(15~20분 후 1시간 쉬고 반복, 하루 가능한 많이) - 처방 된 약..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