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무릎통증 7

【연골손상을 동반한 앞십자인대 파열】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6개월 과정

0~2주 ● 목표 - 염증 및 부기 감소 - 능동적 굽힘 관절 가동범위 : 0~90도 - 무릎관절의 경직, 강직 예방 - 무릎 뒤쪽 밀림이 없는 정확한 SLR (다리들어올리기) - 목발과 보조기를 착용한 후 바닥 닿기 연습 ● 염증 및 부기 관리 - 얼음찜질 : 가능한 많이, 20분 적용 / 1시간 휴식 - 다리 들고 있기 - 병원 처방 약 꾸준히 먹기 ● 부목 & 보조기 - 항시 착용 - 상처 소독 시에만 제거 가능 ● 관절 가동범위 운동 - 수동적 무릎 폄 운동 1. heel props heel props 2. prone hangs prone hangs - 능동적 무릎 굽힘 운동 1. heel and wall slide heel and wall slide wall slide 2. prone knee ..

【무릎 뒤에 생긴 혹, 베이커 낭종】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6주 과정

0~2주 ● 목표 - 수술 조직 회복 - 수술 부위 보호 - 염증과 통증 관리 - 목발을 이용한 안전한 보행 - 관절 가동범위 회복 - 보조기 착용 - 운동을 통한 근위축 방지 ● 염증과 통증 관리 - 얼음찜질 : 동상을 주의하며 가능한 많이 - 휴식시 다리 거상 ● 보조기 - 병원에서 제공하는 부목(cast) 또는 보조기(knee immobilizer)를 착용하고 있습니다. - 보조기는 운동할 때 제거할 수 있습니다. ● 관절 가동범위 운동 - 통증이 심하지 않은 범위까지 굽힘 폄 운동하기 1) 수건을 이용한 굽힘 2) 벽을 이용한 굽힘 3) 무릎 폄 운동 4) 수건을 이용한 무릎 폄 운동 ● 근력 강화 운동 1) Q-setting 2) hamstring 운동 3) SLR 4) 무릎뼈 관절 가동술 5)..

【내측측부인대 파열 수술】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6개월 과정

0~2주 ● 목표 - 통증과 염증 감소 - 굽힘 각도 제한 - 안전한 목발 보행 - 넙다리네갈래근의 근조절 능력 향상 - 상처 드레싱 ● 보조기 - 무릎을 펴고 최대 8주까지 고정 ● 목발 - 수술부위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목발 사용 - 체중의 50% 이상의 부하가 가해지지 않도록 주의 ● 치료적 운동 (1) ankle pumping (2) 능동-보조 무릎 굽힘 운동 (0~90˚) (3) prone hang (4) heel prop (5) Q - setting (6) SLR (7) gluteus medius strengthening (8) breathing ● 다음 시기로 가기 위한 기준 - 3/10 정도의 통증 감소 - 수술 후 2주가 지났을 때 - 최소 무릎 폄 0˚, 굽힘 75˚가 됐을 때 - SL..

【반월판 연골 파열】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6개월 과정

0~3주 ● 목표 - 수술 부위 보호 - 통증과 부종 감소 - 무릎뼈(patella)의 움직임 회복 - 무릎관절 최대 폄 - 능동적 무릎관절 최대 폄 회복 - 무릎관절 굽힘 < 90˚ - 관절성 근육 억제의 최소화(arthrogenic muscle inhibition) - 넙다리네갈래근의 조절 회복 ● 염증 조절 - 얼음찜질 - 수술 부위 압박 - 다리 들기(거상) - 발목 펌프 운동(ankle pumping exercise) ● 주의 사항 - 무릎(오금부위)에 베개를 놓고 눕지 않습니다. (무릎이 구부려짐) - 앉거나 누워 있을 때 무릎을 최대한 펴고 다리를 들고 있습니다. - 무릎 관절의 능동적 굽힘을 하지 않습니다.(스스로 근육을 사용하여 구부리지 않습니다.) - 수술한 다리 쪽으로 돌아 눕지 않습..

【무릎인공관절(전치환술)】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16주 과정

0~7일 ● 목표 - 보조기 착용 후 서기 - 보조기 착용 후 10~30m 통증 없이 걷기 - 환자 스스로 90˚ 이상 무릎 관절 굽힘 - 0˚ 무릎 관절 폄 - 넙다리네갈래근 근력 강화 - 환자가 현 상태에 대해 인지하고 본인의 움직임 능력을 이해하기 ● 주의사항 - 서 있을 때 반드시 보조기를 착용 - 상처 부위의 과한 통증이나 염증 상태 확인 - 무게나 저항을 주는 운동 금지 - 양 발이 땅에 닿고 서 있을 때 무릎을 비틀지 않기 - 말초신경의 감각 저하나 극심한 종아리 통증이나 심한 부종(심부정맥 혈전증), 호흡곤란(폐색전증) 시 반드시 담당의와 상의 ● 물리치료 - CPM을 통해 무릎 굽힘 운동을 진행(0~40˚) - 얼음찜질을 하루에 가능한 많이, 한번 할 때 20분 유지 ● 다리의 기본 위치..

【앞십자인대 파열 재건술】 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과정(~4개월)

앞십자인대 재건술 수술 후 시기별 재활 운동 안녕하세요 인체의 기능을 관하라는 기능치료사입니다. 오늘은 무릎 앞십자인대 재건술 수술 후 4개월 시기별 재활 운동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어렵거나 이해 안되는 부분은 언제든지 댓글 달아주세요. 0~2주 수술 초기에 가장 중요한 운동은 무릎을 최대한 펴는 연습을 하는 것입니다. ● 목표 - 통증과 염증 조절 - 상처 소독과 관리 - 초기 적절한 관절 가동범위 확보 - 수동적으로 최대 무릎 폄(신전, extension) 운동 후 유지 - 대퇴사두근의 근위축 방지 - 목발 보행 패턴 교육 ● 통증과 염증 관리 - 다리 아래에 베개나 이불을 대서 심장보다 높게 유지합니다. - 얼음찜질을 합니다.(15~20분 후 1시간 쉬고 반복, 하루 가능한 많이) - 처방 된 약..

【앞십자인대 파열】수술 전 재활 운동

앞 십자인대 파열 후 수술 전 재활 운동 ※ 목표 - 통증과 염증조절 - 관절 가동범위의 회복 - 정상 보행과 일상생활동작을 위한 근력 강화 - 환자의 수술에 대한 이해 ● 염증과 통증조절 - 얼음 찜질 : 가능한 많이, 회당 20분 - 병원에서 처방 받은 약 복용 ● 관절 가동범위(ROM)의 회복 - 가능한 최대 관절 가동범위까지 운동합니다. 굽힘(flexion) 폄(extension) 목표 각도 0˚~140˚ 0˚ (1) 수동 최대 폄(신전, passive extension)운동 - 의자에 앉아 무릎 펴기 - 수건 놓고 무릎 펴기(heel props) - 앉아서 무릎 펴기 (2) 최대 굽힘(굴곡, flextion) - 중력을 이용한 무릎 구부리기(wall slide) - 무릎 구부리기(heel sli..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