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강의준비 16

【뉴만 정복하기】Chapter 2. 수술 후 관절 고정에 따른 관절 강직 & 관절 병리

안녕하세요 몸의 기능을 관리하는 기능치료사입니다. 물리치료의 기본 서적 뉴만의 정복을 돕기 위해 최대한 쉽게 설명하려 합니다. 오늘은 수술 전 또는 후 관절 고정에 다른 관절의 강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관절 고정 골절 또는 관절 손상에 의한 수술 전, 후에 관절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깁스나 부목을 이용하여 고정을 합니다. 관절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막아 수술 후 합병증이나 외상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관절, 근육, 뼈 손상에 대한 치료로 관절의 고정은 거의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수술의 정도, 방법, 목적에 따라 그 기간은 달라지며 고정이 길어지면 관절에 강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오늘은 관절 고정 후 나오는 증상 중 하나인 관절의 강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관절의 강직 관절주위 결합조직들은 신..

강의준비/뉴만 2022.08.05

【뉴만 정복하기】Chapter 2. 인체 관절들의 기본 구조와 기능 : 뼈

안녕하세요 몸의 기능을 관리하는 기능치료사입니다. 물리치료의 기본 서적 뉴만의 정복을 돕기 위해 최대한 쉽게 설명하려 합니다. 오늘은 인체를 지지하고 자세를 유지해주는 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뼈(Bone) 뼈는 인체에 대한 단단한 지지를 제공하고, 근육에 대한 지레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단단한 뼈를 이용해 우리는 자세를 좀 더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움직일 수 있습니다. 뼈는 다른 관절주위의 결합조직의 기본적인 특성을 공유합니다. 뼈조직은 섬유단백질인 유형 Ⅰ 아교질과 관절주위 결합조직들이 갖는 세포(뼈모세포), 무기염이 풍부한 단단한 바탕질의 특징을 갖습니다. 우리 몸의 긴 뼈 중 하나인 몸쪽 넙다리뼈의 안쪽 구조를 보여주는 그림입니다. 성인 뼈대에 있어 긴 뼈의 바깥쪽 겉질은 두꺼운 치밀뼈로 구성된 몸..

강의준비/뉴만 2022.07.13

【뉴만 정복하기】Chapter 2. 관절주위 결합조직의 유형들 : 치밀결합조직, 관절연골, 섬유연골

안녕하세요 몸의 기능을 관리하는 기능치료사입니다. 물리치료의 기본 서적 뉴만의 정복을 돕기 위해 최대한 쉽게 설명하려 합니다. 오늘은 관절주위 결합조직의 유형인 치밀결합조직, 관절연골, 섬유연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치밀결합조직 (Dense connective tissue) 관절을 싸고있는 대부분의 비근육성 "물렁조직"인 관절주머니의 섬유층, 인대, 그리고 힘줄이 치밀결합조직에 해당됩니다. 치밀결합조직은 섬유모세포의 수가 극히 적고, 혈액공급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회복 능력이 떨어집니다. 그리고 비교적 낮거나 중간정도의 프로테오글리칸과 탄력소의 비율을 가지고 있어 힘을 분산시키거나, 장력에 의해 늘어났다 다시 줄어드는 능력이 떨어집니다. 치밀결합조직은 비교적 유형 Ⅰ 아교섬유들로 꽉차 있어 잘..

강의준비/뉴만 2022.06.21

【뉴만 정복하기】 Chapter 2. 관절주위 결합조직의 조직학적 구성 : 섬유단백질, 바탕질, 세포

안녕하세요 몸의 기능을 관리하는 기능치료사입니다. 물리치료의 기본 서적 뉴만의 정복을 돕기 위해 최대한 쉽게 설명하려 합니다. 오늘은 관절주위 결합조직의 조직학적 구성인 섬유단백질, 바탕질, 세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관절 주위 결합조직(Periarticular connective tissue)이란? 인체는 일차적인 조직유형인 결합조직, 근육, 신경, 상피가 있습니다. 여기서 중배엽에서 발생한 결합조직은 관절의 기본 구조인 관절주머니, 인대, 힘줄, 관절연골, 섬유연골을 형성하게 됩니다. 이러한 조직들을 관절주위 결합조직이라고 부릅니다. 관절 주위 결합조직의 조직학적 구성은 크게 3가지로 섬유단백질, 바탕질, 세포가 있습니다. 1. 섬유단백질 - 아교질 (유형Ⅰ, Ⅱ) - 탄력소 2. 바탕질 - 글리코..

강의준비/뉴만 2022.06.17

【뉴만 정복하기】 Chapter 2. 역학적 유사성에 근거한 윤활관절의 분류

안녕하세요 몸의 기능을 관리하는 기능치료사입니다. 물리치료의 기본 서적 뉴만의 정복을 돕기 위해 최대한 쉽게 설명하려 합니다. 오늘은 움직임의 역학에 근거해 7가지의 범주로 나눈 경첩관절, 타원관절, 절구관절, 평면관절, 안장관절,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경첩관절 (Hinge joint) 문의 경첩과 비슷한 인체의 관절입니다. 돌림축이 직각으로 놓인 운동면에서 일어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안-가쪽축의 경첩관절은 이마면에서의 움직임이 나옵니다. 위팔자관절은 굽힘과 폄이 나오는 전형적인 예입니다. 중쇠관절 (Pivot joint) 원통형에 둘러싸인 중심 핀에 의해 형성돼있는 중쇠관절은 문의 손잡이와 비슷한 인체의 관절입니다. 경첩과는 반대로 돌림축과 움직이는 관절면은 평행한 방향입니다. 이는 축돌림(rotat..

강의준비/뉴만 2022.06.16

【뉴만 정복하기】 Chapter 2. 인체 관절들의 기본 구조와 기능 : 부동관절, 가동관절(윤활관절)

안녕하세요 몸의 기능을 관리하는 기능치료사입니다. 물리치료의 기본 서적 뉴만의 정복을 돕기 위해 최대한 쉽게 설명하려 합니다. 오늘은 움직임에 근거하여 두 가지로 나눈 부동관절, 가동관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관절이란?(Joint) "둘 또는 그 이상 뼈들 사이의 연결 또는 중심점(pivot point)을 말한다." 라 뉴만에 나와있습니다. 말이 어렵게 느껴지지만 그림을 보면 좀 더 쉽습니다. 연결되어 있는 막대 두 개가 있습니다. 하나의 막대를 구부리면 서로 만나고 있던 부분(빨간 동그라미)에서 움직임이 나오게 됩니다. 인체에서 막대가 뼈가 되고, 빨간 동그라미 부분이 관절이 됩니다. 신체의 움직임은 여러 관절들에 대한 뼈의 돌림 운동을 통해서 일차적으로 일어납니다. 따라서 관절 모양과 상태를 알아야..

강의준비/뉴만 2022.06.09

【뉴만 정복하기】Chapter 1. 소개 : 작용근, 대항근, 협동근

안녕하세요 몸의 기능을 관리하는 기능치료사입니다. 물리치료의 기본 서적 뉴만의 정복을 돕기 위해 최대한 쉽게 설명하려 합니다. 오늘은 작용근과 대항근, 협동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작용근과 대항근, 협동근은 어떤 근육을 어떤 방식으로 운동할지 정할 수 있는 중요한 내용입니다. 작용근(agonist) 근육을 이용해 움직임을 만들때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근육입니다. 예를 들어 팔꿈치 굽힘(elbow flexion)을 한다면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근육은 위팔두갈래근(biceps brachii)입니다. 주로 운동을 할 땐 작용근을 생각하며 운동을 하게 됩니다. 대항근(antagonist) 근육을 이용해 움직임을 만들때 작용근의 반대쪽에서 움직임의 속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팔꿈치 굽힘을 한다면 움..

강의준비/뉴만 2022.05.29

【뉴만 정복하기】 Chapter 1. 소개 : 근육활성의 유형(등척성, 동심성, 편심성)

안녕하세요 몸의 기능을 관리하는 기능치료사입니다. 물리치료의 기본 서적 뉴만의 정복을 돕기 위해 최대한 쉽게 설명하려 합니다. 오늘은 근육활성의 유형인 등척성과 동심성, 편심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육활성의 유형은 임상에서 환자에게 운동을 적용할 때 중요하게 작용하며, 특히 운동의 강도를 정하거나 움직임에서 불충분한 움직임이 나올때 적용 가능한 이론입니다. 근육활성의 유형 3가지 근육은 신경계의 자극을 통해 활성화 됩니다. 이 근육의 활성화는 등척성, 동심성, 편심성 이 3가지 방법을 통해 힘을 생산합니다. 등척성 활성(Isometric activation) '근육이 일정한 길이를 유지하면서 당기는 힘을 생산할 때 일어난다' 그리스어의 isos는 같다를 metron은 치수 또는 길이를 말합니다. 근육..

강의준비/뉴만 2022.05.28

【뉴만 정복하기】 Chapter 1. 소개 : 내적인 힘, 외적인 힘

안녕하세요 몸의 기능을 관리하는 기능치료사입니다. 물리치료의 기본 서적 뉴만의 정복을 돕기 위해 최대한 쉽게 설명하려 합니다. 오늘은 내적인 힘과 외적인 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내적인 힘과 외적인 힘은 몸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중요한 이론이기도 합니다. 내적인 힘 (Internal force) '신체의 내부에 위치된 구조들로부터 생산된다.' 이라고 뉴만에 나와 있습니다. 이는 우리가 움직일 때 또는 운동을 할 때 우리 몸에서 작용하는 힘을 말하며, 능동적인 힘(active)와 수동적인 힘(passive)로 나뉠수 있습니다. 능동적인 힘은 근육에 의해 발생합니다. 근육의 힘에 의해 발생한다고 하여 반드시 우리의 의지에 의해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수의근들의 사용과 불수의근들의 사용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강의준비/뉴만 2022.05.19

【뉴만 정복하기】Chapter 1. 소개 : 관절운동형상학 - 닫힌위치, 느슨한위치

안녕하세요 몸의 기능을 관리하는 기능치료사입니다. 물리치료의 기본 서적 뉴만의 정복을 돕기 위해 최대한 쉽게 설명하려 합니다. 오늘은 관절운동형상학 : 닫힌위치, 느슨한위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관절운동형상학의 닫힌위치, 느슨한위치는 관절의 안정성의 정도, 치료기술인 관절가동술과 수술 후 부목 고정의 각도를 정할 때 필요한 내용입니다. 닫힌위치(Close-packed position)란? '관절의 최대 일치성을 보이는 위치를 닫힌위치라 한다' 라고 뉴만에 나와 있습니다. 각 관절별로 오목관절면과 볼록관절면이 한 지점에서 최대로 일치하는 각도가 있는데 이를 닫힌위치라 하고 주로 관절의 맨 끝부분이나 그 근처입니다. 닫힌위치에서는 그 관절 주변에 있는 대부분의 인대들과 관절주머니의 일부는 팽팽하게 ..

강의준비/뉴만 2022.05.0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