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 목표
- 관절 가동범위 증진
- 근 위축 방지
- 통증과 염증 감소
● 염증, 부종 관리
- 상처 부위 얼음찜질
- 상처 부위의 염증 상태 관찰(부종, 발염감, 발적, 통증의 정도, 손상부의 출혈)
● 근력 운동 (팔꿈치관절을 제외한 인접관절의 운동)
모든 운동은 팔꿈치가 테이블이나 환자의 다리에 고정된 상태에서 합니다.
팔꿈치가 90˚이상 구부려진 상태에서 운동하지 않습니다.
(1) 엄지손가락 움직이기(Thumb flexion/extension)
(2) 손가락 구부리기(Hand/finger tendon glide)
(3) 손목 운동(Wrist flexion/extension,ulnar/radius deviation)
● 관절 가동범위 운동
(1) 팔꿈치 수동적 관절가동범위 운동
7~17일
● 목표
- 관절 가동벙위 증진(17일째까지 80%의 관절 가동범위 확보)
- 근위축 방지
- 통증과 염증 관리
● 염증과 부종관리
- 이전과 같이 관리합니다.
● 근력 운동
- 이전과 같이 운동을 유지합니다.
● 관절 가동범위 운동
- 이전보다 큰 범위가 되도록 운동을 진행합니다.
18~21일
● 목표
- 관절 가동범위 증진(80~100%의 관절 가동범위 확보)
- 팔꿈치 주변 근육 운동 실시
- 통증과 염증 관리
● 염증과 부종관리
- 이전과 같이 관리합니다.
● 근력 운동
(1) 이전의 운동을 유지합니다.
(2) 팔꿈치 굽힘, 폄 등척성 운동
● 관절 가동범위 운동
(1) 이전의 운동을 유지합니다.
(2) 뒤침, 엎침 운동
(3) 팔꿈치 폄(Elbow extensio with overpressure)
3~6주
● 목표
- 정상적인 관절가동 범위
- 힘, 근력, 지구력 정상화
- 기능적 움직임의 정상화
● 근력운동
(1) 기본 운동을 유지합니다.
(2) 어깨와 팔꿈치의 안정화 운동
(3) Thrower's ten shoulder exercises
● 관절 가동범위 운동
(1) 이전의 운동을 유지합니다.
8~12주
● 목표
- 일상생활로의 복귀
● 8~12주 시기의 운동을 하기 위한 기준
- 통증이 없는 최대 관절가동범위 가능
- 일상 생활중 통증이 없는 상태
● 스포츠 활동으로의 복귀
- 잡기 능력이 정상일 때 가벼운 스포츠 활동의 복귀(단, 개인별로 회복 속도에 차이가 있으니 담당의나 치료사 소견에 따라주세요)
'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 팔꿈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굼치 골절 수술】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20주과정 (2) | 2023.10.23 |
---|---|
【팔꿈치 내측측부인대 재건술(두덩정강근, 긴손바닥근 힘줄 이용)】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16주 과정 (2) | 2022.11.02 |
【팔꿈치 인공관절】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12주 과정 (0) | 2022.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