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주
● 목표
- 근력 손실 방지
- 관절 가동범위(굴곡, 구부림 - 0~90˚)
- 염증과 부종 감소
- 상처 회복
● 주의 사항
- 바른 자세로 취침합니다.(천장을 보고 누운 자세)
- 무릎 밑이 아닌 발목 밑에 베개를 놓아 다리를 심장보다 높게 듭니다.
- 바른 자세로 누웠을 때 다리가 모아지지 않도록 다리 사이에 베개를 넣어줍니다.
- 양변기를 이용하여 고관절이 90˚이상으로 굽혀지지 않도록 합니다.
- 다리를 90˚이상으로 들지 않습니다
- 다리를 안쪽으로 모이지 않습니다.
- 다리를 안쪽으로 돌리지 않습니다.
● 퇴원 기준
(일반적인 퇴원 기준이기 때문에 반드시 담당 의사 소견을 따르기 바랍니다.)
- 혼자 침상 위에서 움직일 수 있고, 침상 외 이동이 가능할 때
- 문턱이나 낮은 계단을 충분히 넘을 수 있을 때
- 보조 장치 착용 후 독립적으로 100m 보행이 가능할 시
- 각 시군구의 복지관에서 필요 장비를 제공받을 수 있을 때(각 시군구에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 보행
- 워커나 목발을 사용합니다.
- 통증이 없는 가능한 만큼의 체중 부하를 합니다.
● 염증과 부종 관리
- 상처 부위에 얼음찜질을 합니다.
- 다리 밑에 베개나 이불을 넣어 심장보다 다리가 높게 합니다.(베개를 발목부터 무릎까지 혹은 발목만 대주는 건 괜찮지만, 무릎 밑에만 놓지 않습니다)
● 근위축 방지운동
(1) Ankle pumping
(2) 호흡을 이용한 ankle pumping
(3) Heel silide
(4) Q-setting
(5) 다리 들어 올리기(SLR)
(6) Heel raises
6~9주
● 목표
- 충분한 근력강화
- 관절 가동범위 유지
- 자연스러운 보행패턴
● 주의 사항
- 이전의 주의사항을 유지합니다.
● 근력운동
(1) 이전의 근위축 방지 운동을 유지합니다.
(2) Wall squat
(3) 한발 서기
(4) 중둔근 운동(clamshell)
(5) 실내 자전거
- 안장 높이를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 다리를 최대한 내렸을 때 무릎이 약간 구부려지도록(약 15˚) 안장 높이를 맞춥니다.
(6) 트레드밀
- 기울기는 사용하지 않으며 낮은 강도로 운동합니다.
(7) 수치료(수중치료)
9~12주
● 목표
- 정상적인 관절 가동범위
- 혼자 20분 이상 걷기 가능
- 앉은 사태에서 손 짚지 않고 일어서기
● 근력 강화 운동
(1) 이전의 운동을 유지합니다.
(2) Leg press
(3) Leg curl
(4) 계단 오르기 운동
(5) Elliptical trainer
● 고유 수용성 감각 증진 운동
(1) 한발 서서 땅 딛기(Star pattern exercise)
(2) 한발서서 상체 움직이기
(3) 한발서서 땅 짚기
● 근육 스트레칭
(1) 넙다리네갈래근(대퇴사두근) 스트레칭
(2) 햄스트링(슬와부근) 스트레칭
3개월 ~
● 목표
- 이전의 운동을 유지
- 일상생활에 필요한 근력의 회복
- 통증이 없는 범위에서 취미 생활 복귀
- 통증이 없는 범위에서 일상생활 복귀
'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 고관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관절 인공관절】수술 후 2개월 시기별 재활운동 (전방, 측방접근) (0) | 2021.03.2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