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49

【망치손가락 bony mallet finger】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1~6주 ● 목표 - 염증 및 부기 감소 - 일상생활 중 부목 착용 - 고정핀 주의 ● 주의 사항 - 상처 소독을 하며 피부 상태를 확인합니다. - 수술한 손으로 무언가를 강하게 잡거나 집지 않습니다. - 5파운드(2kg) 이상의 무게를 들거나 밀거나 당기지 않습니다. ● 보조기 - 핀을 고정하고 보호합니다. - 먼쪽 손끝 마디(DIP) 폄을 유지합니다. - 6주 전에 보조기를 제거합니다. (담당의의 소견이 필요함) ● 운동 AROM / PROM place & hold place & hold 수동적 flat fist passive flat fist 능동적 flat fist active flat fist 능동적 table top active table top 6~8주● ● 목표 - 부종 관리 - 모든 관절..

【연골손상을 동반한 앞십자인대 파열】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6개월 과정

0~2주 ● 목표 - 염증 및 부기 감소 - 능동적 굽힘 관절 가동범위 : 0~90도 - 무릎관절의 경직, 강직 예방 - 무릎 뒤쪽 밀림이 없는 정확한 SLR (다리들어올리기) - 목발과 보조기를 착용한 후 바닥 닿기 연습 ● 염증 및 부기 관리 - 얼음찜질 : 가능한 많이, 20분 적용 / 1시간 휴식 - 다리 들고 있기 - 병원 처방 약 꾸준히 먹기 ● 부목 & 보조기 - 항시 착용 - 상처 소독 시에만 제거 가능 ● 관절 가동범위 운동 - 수동적 무릎 폄 운동 1. heel props heel props 2. prone hangs prone hangs - 능동적 무릎 굽힘 운동 1. heel and wall slide heel and wall slide wall slide 2. prone knee ..

【팔굼치 골절 수술】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20주과정

0~2주 ● 목표 - 손가락, 손목, 어깨 등 인접관절 운동 실시 - 담당의 소견을 받아 통증이 없는 범위까지 능동적 팔꿈치 굽힘 폄 실시 - 염증 감소 - 통증 감소 - 인접관절 운동 - 팔꿈치 능동적 관절가동범위 운동 ● 주의사항 - 수술한 팔로 바닥을 짚거나 체중지지를 하지 않기 - 수술한 팔로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밀고 당기기 하지 않기 ● 염증관리 - 부목과 압박 - 얼음찜질 : 가능한 많이 1시간 간격, 20분 적용 - 팔을 심장보다 높게 ● 인접관절 운동 - 어깨뼈 정렬 맞추기 운동 어깨뼈 정렬 맞추기 운동 - 어깨 굽힘 어깨 굽힘 - 어깨 벌림 어깨 벌림 - 손목 손목 굽힘, 폄 - 손 손가락 굽힘 폄 ● 팔꿈치, 아래팔 운동 - 굽힘 / 폄 팔꿈치 엎침 / 폄 - 엎침 / 뒤침 팔꿈치 엎침..

【팔꿈치 내측측부인대 재건술(두덩정강근, 긴손바닥근 힘줄 이용)】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16주 과정

0~3주 ● 목표 - 수술한 조직 보호 - 통증 & 부종 감소 - 이식 부위 보호 - 수동적 & 능동적 어깨관절의 바깥돌림 금지 ● 보조기 - 1주차 : 팔꿈치 굽힘 90˚ 유지 (elbow flexion 90˚ 유지) - 2주차 : 팔꿈치 굽힘, 폄 25~100˚ 유지 - 3주차 : 팔꿈치 굽힘, 폄 15~110˚ 유지 ● 통증 & 부종 감소 - 얼음찜질 : 동상에 주의하며 가능한 많이 ● 물리치료사 - soft tissure mobilization - elbow passive ROM (as tolerated) - ice & compression ● 치료적 운동 1) 모든 범위의 능동적 손목 관절 가동범위 운동 - 굽힘, 폄 (flexion, extension) 손목의 능동적 굽힘, 폄 운동 - 손목 ..

【손가락 힘줄 파열 봉합술 (zone 2,3,4,5)】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8주 과정

0~3주 ● 목표 - 염증과 통증 관리 - 수술 조직 정상 회복 - 수술 부위 보호 - 관절 가동범위 운동 - 보조기 착용 - 근위축 방지 운동 - 상처 마사지 ● 염증과 통증 관리 - 얼음찜질 : 동상에 주의하며 가능한 많이 수술 부위와 인접 부위에 적용합니다. ● 보조기 - 후 블로킹 스프린트(dorsal blocking splint) 1) 손목 : 중립 2) 손허리손가락관절(MCP joint) : 50˚ 굽힘 3) 손가락뼈사이관절(IP, DIP, PIP joint) : 최대 폄 - 만약 중지, 약지, 소지의 깊은 손가락 굽힘근을 재봉합 했을 땐 3개의 손가락을 포함하여 고정해야 합니다. - 수술 부위를 정확히 보호하기 위해 스프린트를 항상 착용합니다. ● 주의사항 - 의사의 다른 소견이 있지 않는 ..

【무릎 뒤에 생긴 혹, 베이커 낭종】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6주 과정

0~2주 ● 목표 - 수술 조직 회복 - 수술 부위 보호 - 염증과 통증 관리 - 목발을 이용한 안전한 보행 - 관절 가동범위 회복 - 보조기 착용 - 운동을 통한 근위축 방지 ● 염증과 통증 관리 - 얼음찜질 : 동상을 주의하며 가능한 많이 - 휴식시 다리 거상 ● 보조기 - 병원에서 제공하는 부목(cast) 또는 보조기(knee immobilizer)를 착용하고 있습니다. - 보조기는 운동할 때 제거할 수 있습니다. ● 관절 가동범위 운동 - 통증이 심하지 않은 범위까지 굽힘 폄 운동하기 1) 수건을 이용한 굽힘 2) 벽을 이용한 굽힘 3) 무릎 폄 운동 4) 수건을 이용한 무릎 폄 운동 ● 근력 강화 운동 1) Q-setting 2) hamstring 운동 3) SLR 4) 무릎뼈 관절 가동술 5)..

【뉴만 정복하기】Chapter 2. 수술 후 관절 고정에 따른 관절 강직 & 관절 병리

안녕하세요 몸의 기능을 관리하는 기능치료사입니다. 물리치료의 기본 서적 뉴만의 정복을 돕기 위해 최대한 쉽게 설명하려 합니다. 오늘은 수술 전 또는 후 관절 고정에 다른 관절의 강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관절 고정 골절 또는 관절 손상에 의한 수술 전, 후에 관절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깁스나 부목을 이용하여 고정을 합니다. 관절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막아 수술 후 합병증이나 외상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관절, 근육, 뼈 손상에 대한 치료로 관절의 고정은 거의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수술의 정도, 방법, 목적에 따라 그 기간은 달라지며 고정이 길어지면 관절에 강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오늘은 관절 고정 후 나오는 증상 중 하나인 관절의 강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관절의 강직 관절주위 결합조직들은 신..

강의준비/뉴만 2022.08.05

【팔꿈치 인공관절】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12주 과정

수술 후 초기 단계 (1일~6주) ● 목표 - 수술 조직 회복 - 인공관절 부위의 위팔세갈래근과 인대를 완전한 상태로 유지 - 목뼈, 어깨관절, 손목, 손 등 팔꿈치 관절과 인접한 관절들의 관절 가동범위를 점진적으로 유연하게 유지 - 팔꿈치관절를 능동-보조 운동으로 관절 가동범위 확보 - 통증과 염증의 최소화 - 부종의 최소화 - 수술 후 바뀐 일상생활과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범위를 정확히 인지 ● 초기 단계에서의 주의점 - 팔꿈치는 약 60˚ 굽힘에서 부목으로 고정합니다. - 기본적인 팔꿈치 부목과 팔걸이는 담당의의 소견 없이 먼저 풀지 않고, 안쪽과 가쪽 방향의 외상에 주의합니다. - 치료사는 반드시 재활 기간 동안 자뼈의 신경병증 징후를 파악하고 평가해야 합니다. - 초기엔 500g 이상의 물건을..

【드퀘르벵 수술】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12주 과정

드퀘르벵 수술이란? 드퀘르벵 수술은 엄지 근처 측면을 따라 지나가는 힘줄의 압을 줄이기 위한 수술입니다. 힘줄이 부어오른 부위에 엄지손가락 근처 피부를 절개하여 수술합니다. 수술 초기에는 통증과 부종을 동반하며, 절개 부위 근처에서 피부가 둔감해지거나 따끔거리는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지지만 몇 달이 걸릴 수 있습니다. 피부 감각 저하나 따끔거리는 통증이 3개월 이상으로 지속된다면 담당의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술 후 2주 정도가 지나면 실밥을 제거하며 부목은 길게는 4주까지 착용할 수 있습니다. 손을 많이 사용하지 않는 직업군은 1~2일만에도 퇴원과 일상생활로의 복귀가 가능합니다. 다만 담당의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손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군은 6~12주 정도의 회복 기간을..

【뉴만 정복하기】Chapter 2. 인체 관절들의 기본 구조와 기능 : 뼈

안녕하세요 몸의 기능을 관리하는 기능치료사입니다. 물리치료의 기본 서적 뉴만의 정복을 돕기 위해 최대한 쉽게 설명하려 합니다. 오늘은 인체를 지지하고 자세를 유지해주는 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뼈(Bone) 뼈는 인체에 대한 단단한 지지를 제공하고, 근육에 대한 지레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단단한 뼈를 이용해 우리는 자세를 좀 더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움직일 수 있습니다. 뼈는 다른 관절주위의 결합조직의 기본적인 특성을 공유합니다. 뼈조직은 섬유단백질인 유형 Ⅰ 아교질과 관절주위 결합조직들이 갖는 세포(뼈모세포), 무기염이 풍부한 단단한 바탕질의 특징을 갖습니다. 우리 몸의 긴 뼈 중 하나인 몸쪽 넙다리뼈의 안쪽 구조를 보여주는 그림입니다. 성인 뼈대에 있어 긴 뼈의 바깥쪽 겉질은 두꺼운 치밀뼈로 구성된 몸..

강의준비/뉴만 2022.07.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