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주
● 목표
- 수술 조직 회복
- 수술 부위 보호
- 염증과 통증 관리
- 목발을 이용한 안전한 보행
- 관절 가동범위 회복
- 보조기 착용
- 운동을 통한 근위축 방지
● 염증과 통증 관리
- 얼음찜질 : 동상을 주의하며 가능한 많이
- 휴식시 다리 거상
● 보조기
- 병원에서 제공하는 부목(cast) 또는 보조기(knee immobilizer)를 착용하고 있습니다.
- 보조기는 운동할 때 제거할 수 있습니다.
● 관절 가동범위 운동
- 통증이 심하지 않은 범위까지 굽힘 폄 운동하기
1) 수건을 이용한 굽힘
2) 벽을 이용한 굽힘
3) 무릎 폄 운동
4) 수건을 이용한 무릎 폄 운동
● 근력 강화 운동
1) Q-setting
2) hamstring 운동
3) SLR
4) 무릎뼈 관절 가동술
5) ankle pumping
2~4주
● 목표
- 염증과 부종 관리
- 실밥 제거
- 담당의 소견에 따른 보조기 제거
- 목발 없는 체중부하 연습
- 가능한 최대 관절 가동범위
- 근력 강화 운동
● 보조기 제거
- 담당의에 소견에 따라 보조기를 제거합니다.
- 통증이 발생하거나 일상생활 중 불편함이 있다면 보조기를 착용합니다.
● 실밥제거
- 2주 정도가 되면 실밥을 제거합니다.
- 개개인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체중부하 연습
- 통증이 없는 상태에서의 체중부하 연습
● 관절 가동범위 운동
- 이전의 운동을 반복합니다.
- 각 각도는 통증이 없은 범위에서 최대 범위로 운동합니다.
● 근력운동
1) 넙다리네갈래근 운동
2) 햄스트링 운동
3) 런지
4) 균형 & 고유수용성 감각 운동
4~6주
● 목표
- 보조기구 없이 최대 체중부하
- 최대 관절가동범위
- 일상 생활로의 복귀
- 최대 근력 회복
● 관절 가동범위 운동
- 무릎의 최대 관절 가동 범위 운동
- 굽힘 : 160˚ 이상
- 폄 : 0˚
● 최대 근력 운동 가능 시기
- 낮은 부하부터 운동 시작
1) Leg press
2) hamstring curl
3) squat
4) plyometric
5) 유산소 운동
● 스포츠활동으로의 복귀
- 천천히 낮은 부하의 운동부터 시작합니다.
'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 무릎'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골손상을 동반한 앞십자인대 파열】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6개월 과정 (3) | 2023.11.01 |
---|---|
【내측측부인대 파열 수술】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6개월 과정 (4) | 2022.06.22 |
【반월판 연골 파열】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6개월 과정 (2) | 2022.06.09 |
【무릎인공관절(전치환술)】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16주 과정 (0) | 2021.12.27 |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수술 후 9개월 시기별 재활운동 (0) | 2021.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