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주
● 목표
- 염증 및 부기 감소
- 능동적 굽힘 관절 가동범위 : 0~90도
- 무릎관절의 경직, 강직 예방
- 무릎 뒤쪽 밀림이 없는 정확한 SLR (다리들어올리기)
- 목발과 보조기를 착용한 후 바닥 닿기 연습
● 염증 및 부기 관리
- 얼음찜질 : 가능한 많이, 20분 적용 / 1시간 휴식
- 다리 들고 있기
- 병원 처방 약 꾸준히 먹기
● 부목 & 보조기
- 항시 착용
- 상처 소독 시에만 제거 가능
● 관절 가동범위 운동
- 수동적 무릎 폄 운동
1. heel props
2. prone hangs
- 능동적 무릎 굽힘 운동
1. heel and wall slide
2. prone knee flexion
● 근육 운동
- Q-setting (무릎 굽힘 각도 0도)
- ankle pumping
- SLR 보조기 착용 후 / 무릎 뒤쪽 미끄러짐 없이
● 고유수용성 감각 운동
- 상체 지지 후 체중 부하 연습
2~6주
● 목표
- 염증과 부기 관리
- 능동적 굽힘 관절 가동범위 : 90도
- 무릎 최대 폄 관절 가동범위 : 0도
- 목발을 이용한 부분적 체중 부하 연습
- 무릎 뒤쪽 밀림이 없는 정확한 SLR
● 수동적 / 능동보조적 / 능동적 관절 가동범위 운동
- 이전의 무릎 최대 폄 운동을 계속 반복합니다.
● 운동
- 4방향 hip exercise
- prone hamstring curl (theraband 저항)
- sidelying hip abduction
- 부분적 보행 연습
● 셀프 관절가동술
- 무릎뼈 관절가동술
6~8주
● 목표
- 눈에 띄게 줄어든 부기
- 무릎 굽힘 최대 범위
- 목발 제거
● 운동
- wall squat
- gait training
- 실내자전거 (낮은 강도 / 안장 높게)
8~12주
● 목표
- 통증과 염증이 없는 상태
- 손상측과 비손상측의 같은 무릎 범위
- 기능적 움직임이 가능한 상태
● 운동
- squat
- lunge
- 고유수용성 감각 운동
- 조깅 가능 (운동 후 얼음찜질 필수)
3~6개월
● 목표
- 불편함 없는 일상적인 생활
- 50% 이상의 기능적 움직임
- 이전의 운동의 강도를 높여가며 진행
● 운동
- 트랙에서 런닝 (커브길 조심히 뛸 것)
- 속도와 강도를 조절하며 뛰기
6개월 이후
● 목표
- 스포츠 활동 복귀
● 운동
- 가벼운 테니스
- 가벼운 골프
- 스포츠 관련 특이성 운동 가능
● 스포츠 활동 복귀 기준
- 햄스트링 자가건 이식 : 6~8개월 이후
- 아킬레스건 동종건 이식 : 8~12개월 이후
- 운동 진행은 점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스포츠 별로 특이성 운동을 진행하길 바랍니다.
'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 무릎'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릎 뒤에 생긴 혹, 베이커 낭종】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6주 과정 (0) | 2022.08.28 |
---|---|
【내측측부인대 파열 수술】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6개월 과정 (4) | 2022.06.22 |
【반월판 연골 파열】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6개월 과정 (2) | 2022.06.09 |
【무릎인공관절(전치환술)】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16주 과정 (0) | 2021.12.27 |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수술 후 9개월 시기별 재활운동 (0) | 2021.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