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3주
● 목표
- 수술 부위 보호
- 통증과 부종 감소
- 무릎뼈(patella)의 움직임 회복
- 무릎관절 최대 폄
- 능동적 무릎관절 최대 폄 회복
- 무릎관절 굽힘 < 90˚
- 관절성 근육 억제의 최소화(arthrogenic muscle inhibition)
- 넙다리네갈래근의 조절 회복
● 염증 조절
- 얼음찜질
- 수술 부위 압박
- 다리 들기(거상)
- 발목 펌프 운동(ankle pumping exercise)
● 주의 사항
- 무릎(오금부위)에 베개를 놓고 눕지 않습니다. (무릎이 구부려짐)
- 앉거나 누워 있을 때 무릎을 최대한 펴고 다리를 들고 있습니다.
- 무릎 관절의 능동적 굽힘을 하지 않습니다.(스스로 근육을 사용하여 구부리지 않습니다.)
- 수술한 다리 쪽으로 돌아 눕지 않습니다.
● 보조기
- 부목이나 보조기를 사용
- 목발 사용
● 체중부하
- 가능하다면 부분적 체중부하(의사 소견이 반드시 필요)
- 계단을 오를 때 정상측 먼저 오름, 내려갈 때 목발이나 수술한 다리 먼저 내림
● 관절 가동범위 운동
(1) 무릎뼈 관절 가동범위 운동
(2) 앉아서 수동 / 능동-보조 폄(능동적 운동 금지)
(3) Heel slide
(4) Heel prop
(5) Prone hang
● 근력운동
(1) Q-setting
(2) SLR
(3) 엉덩관절 벌림근육 운동(gluteus medius)
(4) 60˚, 90˚에서 등척성 운동
● 다음 단계로 가기 위한 기준
- 무릎 폄 0˚
- 무릎 굽힘 90˚
- 넙다리 네갈래근의 수축 시 무릎뼈가 위쪽으로 당겨지는 자연스러운 움직임(patella superior gliding)
- SLR 운동 시 무릎을 쭉 펼수 있는 단계 (extension lag가 없는 상태)
3~6주
● 목표
- 수술 부위 보호 유지
- 통증과 부종 감소
- 무릎 최대 폄 유지
- 치료사의 도움없이 90˚ 이하의 무릎 굽힘
● 통증 및 부종 관리
- 얼음찜질
- 발목 펌프 운동 유지
● 체중부하
- 치료사의 도움없는 부분적 체중부하 연습
- 담당의 소견에 따른 보조기 제거
● 심폐지구력 운동
- Ergometer
● 관절 가동범위 운동
- 이전의 운동을 반복
- 무릎 관절 범위가 나오는 각도에 한에서 실내 자전거 운동
● 근력운동
(1) Calf raises
(2) Clamchell
(3) Bridge
● 균형 및 고유수용성 감각 증진 운동
(1) 고르지 못한 지면에서 서있기
● 다음 단계로 가기 위한 기준
- modified stroke test > 부종 없음
- 무릎 굽힘 120˚ 각도
- 반대쪽과 비슷한 무릎 폄 각도
6~9주
● 목표
- 수술 부위 보호 유지
- 무릎 최대 폄 유지
- 보행의 정상화
- 반대쪽과 비교 했을 때 무릎 굽힘 10˚이내의 차이
- 무리하지 않는 근력강화
- 움직임 패턴의 정상화
● 주의사항
- 통증과 부종이 심해지는 운동은 하지 않습니다.
● 체중 부하
- 정상적인 보행 패턴으로 걷기
- 서 있거나 걸을 때 정상적인 넙다리네갈래근의 근육 조절
- 의사 소견에 따른 목발과 보조기 제거
● 심폐지구력 운동
- 실내 자전거
- flutter kick
- pool jogging
● 스트레칭
(1) 누워서 능동적 넙다리두갈래근 스트레칭
(2) 엎드려서, 서서 넙다리네갈래근 스트레칭
(3) 무릎 꿇고 엉덩관절 굽힘근(hip flexor) 스트레칭
● 근력 강화
(1) Mini wall squat 60˚
(2) Ball squat
(3) 넙다리두갈래근 (hamstring strengthening)
- 엎드려서 넙다리두갈래근 운동
- 서서 뒤넙다리근 운동
(4) Bridge on physio ball
(5) Hip hike
(6) 엉덩관절 모음
● 균형 및 고유수용성 감각 증진 운동
(1) 불안정한 지면에서 한발서기 운동
● 다음 단계로 가기 위한 기준
- 운동 후 통증과 부종이 심해지지 않을 때
- 정상적인 보행을 할 수 있을 때
- 반대쪽과 같은 관절 가동범위가 나올 때
9~12
● 목표
- 최대 관절 가동범위 유지
- 무리하지 않는 근력강화
- 움직임 패턴의 정상화
- 통증과 부종이 발생하지 않게 운동
● 심폐지구력 운동
- Elliptical
- Stair climber
● 근력강화 운동 (무릎관절을 움직일 때 몸쪽의 근육(core muscles)을 잘 조절하는 연습을 하며 운동합니다)
(1) 의자를 이용한 squat
(2) lateral lunge
(3) retro lunge
(4) step ups
(5) lateral step ups
● 다음 단계로 가기위한 기준
- 일상생활 시 무릎관절에 불안정성이 없을 때
- 한발 스쿼트시에 적어도 90˚의 무릎 굽힘 10번 반복이 가능할 때
- 반대쪽 다리를 비교 했을 때 넙다리네갈래근과 넙다리두갈래근, 중간볼기근이 80%의 기능적 회복이 있을 때
3~5개월
● 목표
- 점진적 과부하 방법을 통한 근력강화
- 특정 스포츠 운동을 시작
- 움직임 패선 정상화
- 통증과 부종이 발생하지 않게 운동
● 간단한 스포츠 활동의 연습 시작
- 완전한 스포츠 활동으로의 복귀가 아닌 자세 연습이나 체력 훈련
- 무릎에 큰 부담이 없는 운동 시작
- 평형, 등산, 계단 내려가기, 과격한 운동은 금지
● 다음 단계로 가기위한 기준
- 조깅과 런닝을 해도 통증과 부종이 심해지지 않을 때
- 무릎 관련 근육들의 근육 기능이 90%이상일 때
6개월 이상
● 목표
- 근력강화와 고유수용성 감각 증진 운동 유지
- 스포츠 활동 중 양쪽 무릎의 비슷한 기능적 움직임
- 안전하게 스포츠 활동으로의 복귀
● 스포츠 활동으로의 복귀
- 스포츠 활동 시 통증이 없거나 담당의의 소견에 따라 스포츠 활동으로 복귀합니다.
'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 무릎'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릎 뒤에 생긴 혹, 베이커 낭종】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6주 과정 (0) | 2022.08.28 |
---|---|
【내측측부인대 파열 수술】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6개월 과정 (4) | 2022.06.22 |
【무릎인공관절(전치환술)】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16주 과정 (0) | 2021.12.27 |
【후방십자인대 재건술】수술 후 9개월 시기별 재활운동 (0) | 2021.11.01 |
【무릎 추벽 증후군】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과정 (0~6개월) (2) | 2021.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