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준비/뉴만

【뉴만 정복하기】Chapter 1. 소개 : 관절운동형상학 - 닫힌위치, 느슨한위치

움직임을 디자인하다 2022. 5. 6. 09:25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몸의 기능을 관리하는 기능치료사입니다.

물리치료의 기본 서적 뉴만의 정복을 돕기 위해 최대한 쉽게 설명하려 합니다.

 

오늘은 관절운동형상학 : 닫힌위치, 느슨한위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관절운동형상학의 닫힌위치, 느슨한위치는 관절의 안정성의 정도, 치료기술인 관절가동술과 수술 후 부목 고정의 각도를 정할 때 필요한 내용입니다.

 


닫힌위치 VS 느슨한위치

 


 

닫힌위치(Close-packed position)란?

 

 

'관절의 최대 일치성을 보이는 위치를 닫힌위치라 한다' 라고 뉴만에 나와 있습니다. 각 관절별로 오목관절면과 볼록관절면이 한 지점에서 최대로 일치하는 각도가 있는데 이를 닫힌위치라 하고 주로 관절의 맨 끝부분이나 그 근처입니다.

 

관절면의 최대 일치성

 

 닫힌위치에서는 그 관절 주변에 있는 대부분의 인대들과 관절주머니의 일부는 팽팽하게 당겨져 관절에 안정성을 높입니다. 관절 주변이 견고하게 잡혀있어 안정성이 높아진만큼 가동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관절의 부가적 움직임(accessory movement)인 구르기, 미끄러짐, 스핀은 최소화 됩니다. 따라서 닫힌위치에서 관절가동술을 하는 것은 비효율적입니다.

 

 일상생활에서의 닫힌위치는 서 있을 때 무릎관절 최대 폄에서 이루어집니다. 무릎관절의 최대 폄은 정강이뼈, 넙다리뼈의 각 관절면의 최대 일치성과 주변 인대나 관절주머니의 팽팽함 등에 의해 관절의 안정성이 높아지고 큰 힘 없이도 장시간 서 있을수 있게 합니다. 수술 후 무릎을 최대 폄하지 못하는 환자들이 장시간 서 있는 자세를 할 수 없음이 닫힌위치가 나오지 않기 때문입니다. 무릎 인공관절이나 앞, 뒤십자인대 수술을 한 환자들은 초기에 최대 폄을 만들어야 무릎의 닫힌위치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느슨한위치(Loose-packed position)란?

 '닫힌 위치를 제외한 모든 위치를 느슨한위치라한다.' 라고 뉴만에 나와있습니다. 관절면이 최대 일치성을 보이는 닫힌위치는 관절에 한 지점을 의미하는데 이를 제외한 모든 위치를 느슨한위치라고 보면 됩니다. 대체적으로 가동범위의 중간범위 근처에서 관절면끼리의 가장 낮은 일치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일치성이 낮은것은 그만큼 불안정하지만 움직임이 잘나오는 것 입니다.

관절면의 낮은 일치성

 

 느슨한 위치는 관절 주변에 있는 인대와 관절주머니들이 비교적 느슨해져 있어 관절의 부가적 움직임인 구르기, 미끄러짐, 스핀을 허용합니다. 때문에 관절가동술 같은 관절 치료방법들은 관절의 닫힌위치가 아닌 느슨한위치에서 진행하는게 수월하고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느슨한 위치는 수술 후 장기간 고정을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도 적용됩니다. 장기간 고정을 하게되면 관절 주변이 뻣뻣해지며 굳어가기 때문에 닫힌위치가 아닌 관절면의 일치성이 낮은 느슨한 위치에서 부목이나 깁스를 대줍니다. 느슨한 위치는 닫힌위치를 제외한 모든 위치이지만 각 관절별로 관절 일치성이 가장 낮은 범위가 존재합니다. 무릎 관절은 수술 후 관절 일치성이 가장 낮은 25˚ 굽힘 상태로 고정을 합니다.

무릎 수술 후 대략 25˚ 굽힘 후 고정

 

관절별 닫힌 위치와 최대 느슨한 위치

닫힌위치 관절 최대 느슨한위치
척추 & 가슴우리
폄의 끝 범위 척추관절 굽힘과 폄의 중간위치
팔을 완전히 올림 복장빗장관절(SC joint) 팔을 편안하게 놓은 상태
어깨관절 벌림 90˚ 봉우리빗장관절(AC joint) 팔을 편안하게 놓은 상태
입을 닫고 이빨을 꽉 뭄, 입을 완전히 벌림 턱관절 턱의 완전한 벌림
어깨
벌림 180˚, 바깥돌림 오목위팔관절(GH joint) 벌림 55~70˚, 수평모음 30˚, 회전은 중립
팔꿈치
폄의 끝범위, 뒤침 위팔자관절 팔꿈치 굽힘 70˚, 뒤침 35˚
굽힘 90˚, 뒤침 5˚ 위팔노관절 뒤침 10˚
아래팔
엎침과 뒤침의 중간 범위(뒤침 5˚) 몸쪽 노자관절 팔꿈치 굽힘 70˚, 뒤침 35˚
먼쪽 노자관절 뒤침 10˚
손목 & 손가락
폄의 끝 범위, 노쪽 치우침 노손목관절 / 자손목관절 중립상태, 완전한 자쪽 치우침
폄의 끝 범위 손목뼈중간관절 중립상태, 완전한 굽힘, 자쪽 치우침
끝 범위의 맞섬 손목손허리관절 굽힘과 폄의 중간
엄지 - 폄의 끝 범위
2nd~5th 손가락 - 굽힘의 끝 범위
손허리손가락관절 엄지 - 완전한 굽힘
2nd~5th 손가락 - 완전한 굽힘,자측치우침
폄의 끝 범위 손가락뼈사이관절 PIP - 굽힘 10˚
DIP - 굽힘 30˚
엉덩관절
폄의 끝 범위, 벌림, 안쪽도림 엉덩관절 굽힘 30˚, 벌림 30˚, 완전 바깥돌림
무릎
폄의 끝 범위, 바깥돌림 정강넙다리관절 굽힘 25˚
발목 & 발가락관절
발등굽힘의 끝 범위 목말종아리관절 안쪽번짐과 바깥번짐의 중간, 발바닥 굽힘 10˚
안쪽번짐의 끝 범위 목말밑관절
뒤침의 끝 범위 발목뼈중간관절
뒤침의 끝 범위 발목발허리관절 뒤침과 엎침의 중간
폄의 끝 범위 발허리발가락관절 중립자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