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준비/뉴만

【뉴만 정복하기】Chapter 1. 소개 : 작용근, 대항근, 협동근

움직임을 디자인하다 2022. 5. 29. 23:14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몸의 기능을 관리하는 기능치료사입니다.

물리치료의 기본 서적 뉴만의 정복을 돕기 위해 최대한 쉽게 설명하려 합니다.

 

오늘은 작용근과 대항근, 협동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작용근과 대항근, 협동근은 어떤 근육을 어떤 방식으로 운동할지 정할 수 있는 중요한 내용입니다.



근육의 작용에 관계된 용어 : 작용근, 대항근, 협동근

작용근(agonist)

 근육을 이용해 움직임을 만들때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근육입니다. 예를 들어 팔꿈치 굽힘(elbow flexion)을 한다면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근육은 위팔두갈래근(biceps brachii)입니다. 주로 운동을 할 땐 작용근을 생각하며 운동을 하게 됩니다. 

 

 

 

대항근(antagonist)

 근육을 이용해 움직임을 만들때 작용근의 반대쪽에서 움직임의 속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팔꿈치 굽힘을 한다면 움직임의 속도를 제어하는 대항근은 위팔세갈래근(triceps brachii)가 됩니다. 이전에 설명한 편심성 운동이 대항근의 역할을 하기 위함입니다. 대항근의 근길이가 짧아져 있는 경우 작용근의 근 수축시 대항근이 충분히 늘어나지 못해 더 큰 힘이 필요하거나 움직임에 제한이 오기도 합니다. 이때 편심성 운동을 하면 대항근의 늘어나는 힘을 기를수 있습니다.

 

 

 

 

움직임에 따라, 중력에 따라, 저항방향에 따라 달라지는 작용근과 대항근

움직임에 따라 바뀌는 작용근과 대항근

 

 

 

협동근(synergist)

 

 근육을 이용해 움직임을 만들때 직접적으로 개입하진 않지만 간접적으로 작용근의 움직임을 돕고 정확한 방향을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모든 움직임은 단순히 작용근만으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예를 들면 무릎관절 폄 근육인 넙다리네갈래근은 넙다리곧은근와 안쪽넓은근, 가쪽넓은근으로 나뉘게 됩니다. 이때 무릎을 직접적으로 펴주는 넙다리곧은근은 작용근이, 양쪽에서 근육의 균형을 맞추어 한쪽으로 틀어지지 않고 곧바로 펴지는 것을 돕는 안쪽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은 협동근이 됩니다.

넙다리네갈래근의 협동근

 

 

 작용근이 일어나는 협력근우세현상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엎드린 자세에서 엉덩관절 폄을 할 때 A그림처럼 작용근인 큰볼기근(Gluteus maximus)의 사용으로 들어 올려야 하는데 B그림처럼 협력근의 우세로 넙다리뒤근(Hamstring)의 보상작용으로 넙다리뼈의 머리가 앞쪽으로 밀려나가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는 서혜부 통증과 엉덩관절 주변 통증, 허리통증을 유발합니다. 따라서 각 움직임에 맞는 작용근의 원활한 수축이 좋은 움직임을 만들고 통증을 줄이는 방법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