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팔꿈치

【팔꿈치 인공관절】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12주 과정

움직임을 디자인하다 2022. 8. 1. 20:51
728x90
반응형

팔꿈치 인공관절 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12주 과정

 


수술 후 초기 단계 (1일~6주)

● 목표

 - 수술 조직 회복

 - 인공관절 부위의 위팔세갈래근과 인대를 완전한 상태로 유지

 - 목뼈, 어깨관절, 손목, 손 등 팔꿈치 관절과 인접한 관절들의 관절 가동범위를 점진적으로 유연하게 유지

 - 팔꿈치관절를 능동-보조 운동으로 관절 가동범위 확보

 - 통증과 염증의 최소화

 - 부종의 최소화

 - 수술 후 바뀐 일상생활과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범위를 정확히 인지

 

● 초기 단계에서의 주의점

 - 팔꿈치는 약 60˚ 굽힘에서 부목으로 고정합니다.

 - 기본적인 팔꿈치 부목과 팔걸이는 담당의의 소견 없이 먼저 풀지 않고, 안쪽과 가쪽 방향의 외상에 주의합니다.

 - 치료사는 반드시 재활 기간 동안 자뼈의 신경병증 징후를 파악하고 평가해야 합니다.

 - 초기엔 500g 이상의 물건을 들지 않습니다.

 - 갑작스러운 움직임이나 과도한 스트레칭을 피합니다.(특히 폄, extension, 신전)

 - 수술 후 강제적으로 과한 굽힘은 피합니다.

 - 수술한 팔로 체중을 지지하지 않습니다.

 - 실밥을 뽑기 전인 2주까지는 상처를 건조한 상태로 유지합니다.

 - 상처에 통증이 심하거나, 액이 많이 나오거나, 감염의 징후가 있을 땐 담당의와 반드시 상담해야 합니다.

 

1~7일

● 목표

 - 통증과 염증 감소

 - 부종 감소

 - 수술 부위 보호 & 상처 드레싱

 - 인접관절 운동으로 근위축 방지

 - 팔꿈치 능동-보조 관절 가동범위 운동으로 관절 강직 방지

 

● 부목

 - 부목과 붕대를 임의로 제거하지 않습니다.

 - 부목을 유지하여 수술 부위를 보호합니다.

 - 치료를 받을 때와 담당의나 치료사의 보호 하에 부목을 빼고 운동을 할 수 있습니다.

 

● 염증과 부종 관리

 - 얼음찜질 : 동상에 주의하며 가능한 많이 반복합니다.

 - 수술 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들고 있습니다 : 누워있거나 앉아 있을 때 베개로 팔을 지지합니다.

 

● 관절 가동범위 운동

 - 근위축 방지 운동 (인접관절 운동) : 인접 관절 운동은 위의 주의점에 위반 되지 않을 선에서 시행합니다.

 (1) 목뼈 굽힘 / 폄

 (2) 어깨관절 굽힘 / 폄

 (3) 어깨관절 벌림 / 모음

 

 

 (4) 손목 굽힘 / 폄

 

 - 관절 강직 방지 운동 : 팔꿈관절 능동-보조 운

1. 표면 치환술 환자는 뒤침과 폄의 운동을 절대 동시에 하지 않습니다
2. 팔꿈치를 몸에 붙이고 운동을 진행합니다.
3. 엎침 뒤침은 팔꿈치 관절 90˚ 굽힘 상태에서 진행합니다.

 (1) 굽힘 / 폄

 

 (3) 엎침, 뒤침

 

 

8일~6주

● 목표

 - 부목 제거 (담당의 소견 필요)

 - 염증과 부종 관리

 - 실밥제거 & 상처 마사지

 - 인접 관절 운동 유지

 - 팔꿈치 능동-보조 운동과 능동 운동을 통해 관절 강직 방지와 근수축 운동 진행

 

● 부목

 - 담당의의 소견에 따라 일과 중에 부목을 풀 수 있습니다.

 - 다만, 야간에 취침 중에는 반드시 착용합니다.

 - 일과 중 업무 강도가 높을 땐 착용합니다.(과한 폄과 뒤침 동작에 대한 보호 작용)

 

● 염증 & 부종 관리

 - 얼음찜질 : 동상에 주의하며 가능한 많이 반복합니다.

 - 수술 부위를 누워있거나 앉아 있을 때 베개로 지지합니다.

 

● 실밥 제거 & 상처 마사지

 - 2주째에 실밥 제거를 합니다. (개인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실밥을 제거하고 상처가 떨어졌을 때 샤워도 가능합니다.

 - 상처의 딱지가 완전히 떨어졌을 때부터 상처 마사지를 합니다.

 

● 관절 가동범위 운동

 - 인접 관절 운동 : 위의 인접관절 운동을 반복하며 점진적으로 저항을 올립니다.

 - 팔꿈치 관절 관절 가동범위 운동

1. 표면 치환술 환자는 뒤침과 폄의 운동을 절대 동시에 하지 않습니다
2. 팔꿈치를 몸에 붙이고 운동을 진행합니다.
3. 엎침 뒤침은 팔꿉관절 90˚ 굽힘 상태에서 진행합니다.

 (1) 굽힘 / 폄

 (3) 뒤침 / 엎침

 

기능적 단계 (6주~)

● 목표

 - 수술 상처 부위를 보호하며 팔꿈치에 대한 일상생활동작을 강화

 - 팔꿈치 관절의 기능적 관절 가동범위 운동

 - 통증과 염증 최소화

 - 팔꿉관절의 동적 안정성 재설정

 

● 기능적 단계에서 주의점

 - 2kg 이상의 무게를 반복적으로 들어 올리지 않습니다.

 - 7kg 이상의 무게를 들어올리지 않습니다.

 - 수술한 쪽으로 팔을 지지하거나 무거운 물건을 강하게 당기거나 밀지 않습니다.

 

6~12주

● 목표

 - 염증과 통증에서의 자유

 - 120˚ 이상의 관절 가동범위 운동

 - 근력 운동

 - 보통의 일상생활

 

● 염증과 부종 관리

 - 팔꿈치를 사용한 다음에 얼음찜질을 적용합니다.

 

● 관절 가동범위 운동

 - 이전의 운동을 반복합니다.

 - 10~12주 까지도 120˚ 굽힘의 각도가 나오지 않으면 담당의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 근력운동

 1. 팔꿈치 인공관절을 한 환자는 강력한 근력 강화 프로그램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2. 근력 강화 운동은 점진적으로 진행되며 통증이 없는 범위에서만 운동을 진행합니다.
 3. 관절 끝 범위에서는 운동을 진행하지 않습니다.

 - 6주 운동 : 팔꿈치, 노자관절의 통증이 없는 중간 범위에서의 등척성 운동

 (1) 팔꿈치 굽힘 / 폄

 (3) 노자관절 뒤침 / 엎침

 - 8주 운동 : 다양한 범위에서 위의 운동을 반복합니다.

 - 10 ~ 12주 : 팔꿈치, 노자관절의 통증이 없는 범위에서 등장성 운동 / 2kg 이상 무게를 올리지 않습니다. / 표면 치환술 환자는 폄과 뒤침 동작을 동시에 반복하지 않습니다.

 (1) 팔꿈치 굽힘 / 폄, 노자관절 뒤침 / 엎침

12주~

● 목표

 - 홈트레이닝

 - 할 수 있는 동작과 할 수 없는 동작을 정확히 인지하기

 - 일상생활로의 복귀

 

● 홈트레이닝

 - 지금까지 배웠던 운동을 집에서 반복합니다.

 - 통증이 없는 범위까지만 운동합니다.

 

● 운동

 - 관절 가동범위 운동과 근력 운동을 주당 2~3회 반복합니다.

 

● 하면 안 되는 동작과 운동

 - 앞으로 7kg 이상의 물건을 한 손으로 들어 올리지 않습니다.

 - 앞으로 테니스나 던지기 같은 운동을 하지 않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