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어깨

【어깨 인공관절】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4개월 과정

움직임을 디자인하다 2022. 6. 1. 06:58
728x90
반응형
어깨 인공관절 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4개월 과정

0~3주

● 목표

- 수술 부위 보호
- 통증 부종 관리
- 근위축 방지(인접 관절 운동)
- 수동적 관절 가동범위 운동(P-ROM)


● 염증과 통증관리

- 얼음찜질 : 가능한 많이
- 물리치료


● 보조기

- 하루 종일 착용
- 잘 때도 착용


● 주의사항

- 어깨의 능동적 관절 가동범위 운동 금지(스스로 팔을 움직이는 행위 금지)
- 안쪽돌림을 하고 뒤쪽으로 손을 뻗는 행위 금지
- 물건 들기 금지
- 수술 한쪽 손으로 땅 짚기 금지
- 과한 폄을 막기 위해 팔꿈치에 베개나 수건을 대줍니다.


● 관절 가동범위 운동

- 수동적 관절 가동범위 운동
(1) 어깨면에서 바깥돌림 30 º

(2) 어깨면에서 벨트라인까지만 안쪽돌림

(3) 가능한 만큼의 굽힘과 어깨면에서의 굽힘

(4) 벌림(≤90 º)


- 능동-보조 관절 가동범위 운동
(1) 반대 손을 이용한 굽힘

(2) stick을 이용한 굽힘

● 근력 강화 운동(2주 뒤부터)

(1) 어깨뼈 뒤당김

(2) 엎드려서 뒤당김

(3) 어깨뼈 정렬(scapular setting)

(4) low row 운동


● 다음 단계로 가기 위한 기준

- 수동적 관절 가동범위의 굽힘과 어깨면 굽힘이 반대 팔과 비교했을 때 50% 이상일 때
- 수동적 관절 가동범위의 벌림이 90 º에 가깝거나 약간 모자랄 때
- 수동적 관절 가동범위 운동 시 어깨 면에서의 바깥돌림이 30 º에 가깝거나 약간 모자랄 때
- 수동적 관절 가동범위 운동 시 어깨 면에서의 안쪽돌림이 70 º에 가깝거나 넘을 때
- 최고 통증을 10이라고 할 때 현재 느끼는 통증이 4 이하일 때

4~6주

● 목표

- 수술 부위 보호
- 통증 부종 관리
- 수동적 관절 가동범위 증가
- 능동적 또는 능동-보조 관절 가동범위 운동 시 최소한의 보상작용(예 : 굽힘을 할 때 어깨가 올라가는 보상작용)
- 어깨뼈 주변 근력 강화
- 바깥돌림 근육의 근 활성화


● 보조기

- 낮시간엔 의사의 소견이 있을 시 풀 수 있습니다.
- 잘 때 착용


● 주의사항

- 과한 바깥돌림, 벌림 운동 금지
- 커피 컵 무게보다 무거운 물건은 들지 않기
- 수술 한쪽 손으로 땅 짚기 금지
- 과한 폄을 막기 위해 팔꿈치에 베개나 수건을 대줍니다.


● 관절 가동범위 운동

- 수동적 관절 가동범위 운동
(1) 이전의 운동 최대 범위 운동(바깥돌림 ≤ 30 º, 벌림 ≤ 90 º)
- 능동-보조 관절 가동범위 운동
(1) 누워서 stick을 이용한 굽힘 운동

(2) 누워서 stick을 이용한 바깥돌림 운동(벌림 60 º)

(3) 수건 밀기 운동

- 능동적 관절 가동범위 운동
(1) 누워서 굽힘 운동

(2) 경례하기(salutes)

(3) 펀치 하기(punch)

● 근력 강화 운동

- 회전근개 운동
(1) 등척성 바깥돌림 운동

- 어깨뼈 주변 근육 운동
(1) 앞톱니근 운동

(2) 짐볼 위에서 뒤당김 근육 운동

-팔꿈치 운동
(1) 위팔두갈래근 운동(biceps curl)

(2) 위팔세갈래근 운동(triceps curl)

● 운동조절(motor control)

(1) 어깨면에서의 바깥돌림 운동

(2) 굽힘 90~125 º

● 근육 이완(stretching)

(1) 옆으로 돌아누워서 뒤쪽 구조물, 근육 스트레칭 운동

● 다음 단계로 가기 위한 기준
- 수동적 관절 가동범위의 굽힘과 어깨면 굽힘, 안쪽돌림이 반대 팔과 비교했을 때 75% 이상일 때
- 수동적 관절 가동범위의 벌림이 90 º 까지 나올 때
- 수동적 관절 가동범위 운동 시 어깨 면에서의 바깥돌림이 30 º 까지 나올 때
- 능동-보조 관절 가동범위 운동 시 최소한의 보상작용이 나올 때
- 최고 통증을 10이라고 할 때 현재 느끼는 통증이 4 이하일 때
- 4~6주의 운동을 무리 없이 할 수 있을 때

7~8주

● 목표

- 수술 부위에 자극이 가지 않도록 합니다.(특히 관절 앞쪽 주머니)
- 최소한의 통증
- 수동적 관절 가동범위 운동 유지
- 능동적 관절 가동범위 운동 증가
- 어깨뼈 주변 근육과 회전근개 근력 강화
- 상지의 기능적 움직임 회복


● 보조기

- 더 이상 보조기를 착용하지 않습니다.(의사의 소견이 필요합니다.)


● 주의사항

- 4.5kg 이상의 무게를 들지 않습니다. (≥10 lbs)
- 앞쪽 관절 주머니에 자극을 주는 행동을 하지 않습니다.


● 관절 가동범위 운동

- 수동적 관절 가동범위 모든 면에서 최대 범위로 운동
- 능동-보조 관절 가동범위 운동
(1) 벽에 공대고 굽힘 운동

(2) 벽에 손대고 굽힘 운동

(3) 도르래 운동(pulley)

- 능동적 관절 가동범위 운동
(1) 앉아서 굽힘 / 어깨면 운동


(2) 누워서 밴드로 굽힘 운동

● 근력 강화 운동

- 회전근개 운동
(1) 안쪽 돌림 등척성 운동

(2) 옆으로 돌아서 바깥 돌림 운동(처음엔 무게 없이 진행해주세요)

(3) 밴드 걸고 바깥돌림, 안쪽 돌림운동

바깥돌림

안쪽돌림

● 운동 조절(motor control)

(1) 안쪽돌림 운동

(2) 바깥돌림 운동

(3) 굽힘 운동(90~125 º)

(4) 벽에 공대고 버티기

● 근육 이완(stretching)

(1) 수건을 이용한 안쪽돌림

(2) 뒤쪽 구조물 스트레칭

(3) 위팔세갈래근 스트레칭 운동

● 다음 단계로 가기 위한 기준

- 능동적 관절 가동범위 운동 시 보상작용이 없는 움직임
- 최고 통증을 10이라고 할 때 현재 느끼는 통증이 4 이하일 때

9~11주

● 목표

- 수술 부위에 자극이 가지 않도록 합니다.(특히 관절 앞쪽 주머니)
- 통증이 없는 상태에서의 관절 가동범위 운동
- 능동적 관절 가동범위 운동 증가
- 어깨뼈 주변 근육과 회전근개 근력 강화
- 어깨의 동적 안정성 증진


● 주의사항

- 4.5kg 이상의 무게를 들지 말 것
- 앞쪽 관절 주머니에 자극을 주는 행동을 하지 않습니다.(벌림 80 º 각도에서의 바깥돌림 운동 금지)


● 관절 가동범위 운동

- 모든 면에서의 최대 관절 가동범위 운동


● 근력 강화 운동

- 회전근개
(1) 이전의 운동을 점진적 과부하로 운동
- 어깨뼈 주변 근육
(1) 네발기기 자세에서 앞톱니근 운동(push up plus)

(2) dynamic hug 운동

(3) 엎드려서 어깨 폄 운동

(4) 서서 밴드를 이용한 펀치 운동

● 운동 조절(motor control)

(1) PNF 밴드를 사용하여 운동

● 다음 단계로 가기 위한 기준

- 누워서 능동적 관절 가동 범위 굽힘을 할 때 140 º 이상일 때
- 누워서 능동적 관절 가동 범위 벌림을 할 때 120 º 이상일 때
- 누워서 능동적 관절 가동 범위 어깨면에서 바깥돌림을 할 때 60 º 이상일 때
- 누워서 능동적 관절 가동 범위 어깨면에서 안쪽돌림을 할 때 70 º 이상일 때
- 굽힘 120 º에서 보상작용이 나오지 않을 때
- 운동할 때 양쪽 어깨뼈(scapular)의 대칭
- 최고 통증을 10이라고 할 때 현재 느끼는 통증이 2 이하일 때

12~16주

● 목표

- 통증이 없는 관절 가동범위 운동
- 어깨 근육의 근력과 지구력 강화
- 상지를 이용한 기능적 움직임 증진
- 일상생활로의 복귀
- 스포츠 활동으로의 복귀



● 근력 강화 운동

- 회전근개
(1) 밴드를 이용하여 벌림 90 º에서 바깥돌림, 안쪽돌림 운동

- 어깨 주변부 근육
(1) T자 운동

(2) Y자 운동

● 다음 단계로 가기 위한 기준

- 모든 범위에서의 통증이 없는 최대 관절 가동범위
- 모든 운동을 할 때 양쪽 어깨뼈(scapular)의 대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