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전근개 파열 관절경 재건술 후 24주 시기별 재활운동
해당 시기에 맞게 운동을 진행하며, 각 시기의 기준을 확인하고 운동을 진행합니다.
각 운동은 담당의나 담당 치료사의 자문을 구하며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1~4주 : 수술 직후 최대 안정 시기
● 초기 목표
- 수술 부위 보호
- 통증과 염증 감소
- 근육 위축 방지
● 주의사항
본인의 근육을 사용해 움직이는 행동(능동적 움직임, Active ROM)을 하지 않습니다.
- 보조기는 운동할 때만 벗고 항상 착용합니다.
- 수술 부위 소독을 합니다.
- 수술한 팔로 물건을 들지 않습니다.
- 몸 뒤의 물건을 잡으려 팔을 뒤로 뻗지 않습니다.
- 땅을 짚고 일어서지 않습니다.
● 운동 전 알아야할 내용
이 프로토콜은 중형파열에 맞춰져 있습니다. 손상 정도에 맞게 운동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손상 정도에 따른 운동 가능 기간 | ||||
운동종류, 보조기 손상정도 |
능동운동 | 능동보조운동 | 수동운동 | 보조기 착용기간 |
소형(0~1cm) | 4주간 금지 | 능동과 같음 | 통증이 없는 범위 | 1~3주 |
중형(1~3cm) | 6주간 금지 | 능동과 같음 | 통증이 없는 범위 | 3~6주 |
대형(3~5cm) | 8주간 금지 | 능동과 같음 | 통증이 없는 범위 | 6~8주 |
광범위형(5cm 이상) | 12주간 금지 | 능동과 같음 | 통증이 없는 범위 | 6~8주 |
1~21일 : 최대 보호기간
● 통증과 염증 감소
- 얼음찜질을 수술 부위에 적용합니다.
- 가능한 많이, 20분 적용 후 1시간 휴식 반복
- 동상에 주의하여 찜질합니다.
● 보조기 착용
- 병원에서 주는 보조기는 운동할 때를 제외하고 계속 착용합니다.
- 취침 중에 갑작스러운 움직임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잘 때도 착용하셔야 합니다.
● 인접 관절 운동
인접관절 운동은 손상 부위가 인접해 있는 관절을 움직임으로써 운동 시 손상부위의 위험은 낮추고 주변부의 근육 위축을 방지하는 운동입니다.
(1) 주먹 쥐기
(2) 팔꿈치 굽힘, 폄
(3) 으쓱하기
(4) 어깨뼈 정렬 맞추기
21~28일 : 최대 보호기간
● 통증과 염증 감소
- 얼음찜질을 유지합니다.
● 보조기 착용
- 보조기 착용을 유지합니다.
● 인접 관절 운동과 근육 이완 운동
(1) 이전의 운동을 유지합니다.
(2) 진자운동 (Pendulum exercise)
● 관절 가동범위 운동
관절 가동범위 운동 전 반드시 알아야 할 사실
위 사진에서 왼쪽이 견갑골과 상완골의 협응 문제로 팔을 들 때 어깨가 딸려 올라가는 잘못된 자세입니다. 많이 올리지 못하더라도 반드시 오른쪽 사진과 같이 어깨가 올라가지 않도록 들어야 합니다.
따라서 관절 가동범위 운동은 거울 앞에서 어깨를 확인하며 운동하시기 바랍니다.
(1) 수동적 관절 가동범위 운동
- 도르래 운동
4주~10주 : 중등도 시기
● 중등도 시기의 운동을 진행하는 기준
- 어깨관절의 굽힘이 적어도 100˚이상 들어 올릴 수 있어야 합니다.
- 수동적 관절 운동으로 바깥돌림(외회전)이 어깨면에서 적어도 45˚이상 나와야 합니다.
- 수동적 관절 운동으로 안쪽돌림(내회전)이 어깨면에서 적어도 45˚이상 나와야 합니다.
- 수동적 관절 운동으로 벌림(외전)이 어깨면에서 적어도 90˚이상 나와야 합니다.
● 중등기 목표
- 연부 조직(근육, 피부 등)의 회복
- 손상부에 대한 스트레스 주의
- 최대 수동적 관절 가동범위 운동
- 능동적 관절 운동
- 보조기 제거
● 주의사항
- 어깨 보조기 착용하기
- 물건 들어 올리지 않기
- 손 짚고 일어나지 않기(팔에 체중 싣지 않기)
- 팔을 과도하게 몸 뒤로 가져가지 않기
- 수술부 어깨를 빠르게 움직이지 않기
4~6주
● 통증과 염증 조절
- 운동 전엔 수술 부위가 아닌 수술 주변부 근육 부위에 온찜질을 적용하고, 운동 후엔 얼음찜질을 유지합니다.
● 보조기
- 보조기를 풀고 통증이 없는 범위에서 운동합니다.
- 운동하는 시간을 제외하고 나머지 시간은 보조기를 착용합니다.
● 인접 관절과 이완 운동
- 이전의 운동을 유지합니다.
● 관절 가동범위 운동
(1) 수동적 관절 가동범위 운동
- 이전의 운동을 통증이 없이 최대 관절 범위에서 운동합니다.
(2) 능동 보조 관절 범위 운동
- 굽힘
- 벌림
- 안쪽돌림
- 바깥쪽돌림
6~8주
● 통증과 염증 조절
- 운동 전엔 수술 부위가 아닌 수술 주변부 근육 부위에 온찜질을 적용하고, 운동 후엔 얼음찜질을 유지합니다.
● 보조기
- 6주가 지나고 나서 보조기를 풀게 됩니다.
- 보조기는 6~8주에 풀게 되는데 손상의 정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의사의 소견이 필요합니다.
● 관절 가동범위 운동
(1) 범위를 늘려 이전의 운동을 합니다.
(2) 능동 관절 가동범위 운동을 시작합니다.
- 굽힘
- 벌림
- 안쪽돌림
- 바깥쪽돌림
- 어깨면에서의 굽힘과 벌림
● 근력운동
(1) 등척성 운동을 시작합니다.
등척성 운동이란 "근육이 수축하지만 근육의 길이나 움직임에는 변함이 없는 운동" - 네이버 국어사전
- 굽힘
- 벌림
- 안쪽돌림
- 바깥쪽돌림
10주~14주 : 근력 강화 시기
● 근력 강화 시기로 진행하는 기준
- 통증이 없는 낮은 단계의 기능적 활동 가능 (예 : 머리 빗기, 단추 없는 옷 입기, 뒤에 있는 물건 잡기 등...)
- 완벽한 근 조절로 안정적인 팔 움직임
● 목표
- 최대 관절 가동범위의 수동 운동 유지
- 최대 관절 가동범위의 능동 운동
- 동적인 어깨 안정성
- 어깨관절 주변의 힘, 근력, 지구력 회복
- 근신경 조절 운동
- 기능적 움직임에 대한 복귀
● 주의사항
- 무거운 물건 들지 않기
- 빠르게 움직이지 않기
10~14주
● 근력운동
(1) 이전의 운동을 운동의 강도를 올려 유지합니다.
(2) 근력 강화 운동
1) 세라밴드 운동
- 굽힘
- 벌림
- 안쪽돌림
- 바깥쪽돌림
2) 공이나 아령을 이용한 운동
- 굽힘
- 벌림
- 안쪽돌림
- 바깥쪽돌림
14주~20주 : 수준 높은 운동 시기
● 목표
- 최대 관절 가동 범위 통증 없이 가능
- 높은 수준의 근력 강화 운동
- 일생 생활의 모든 기능적 활동 가능
- 무리가 되지 않는 스포츠 취미 활동
14~20주
● 근력운동
(1) 모든 근력 운동을 강도를 높여 유지합니다.
(2) 관절 가동범위 증가를 위한 스트레칭
1) 뒤쪽 관절 주머니 스트레칭(Posterior capsular stretching)
(3) 어깨 안정화 운동
1) 어깨 정적 안정화 운동
2) 어깨 동적 안정화 운동
- 밴드를 이용한 어깨 안정화 근력 운동
- 공 던지고 받으며 어깨 안정화 운동
20주~26주 : 일상생활 복귀 시기
● 목표
- 통증이 없는 범위에서 스포츠 활동 복귀
- 완벽한 일상생활로 복귀
20주
- 20주부터는 약간의 스포츠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 바로 운동을 시작하는 것은 큰 무리가 되므로 충분한 스트레칭과 기본 운동을 한 후에 시작합니다.
26주
- 26주부터는 스포츠 활동으로 완벽 복귀를 목표로 합니다.
- 어깨를 최대한 사용하며 운동하되 통증이 나온다면 좀 더 시기를 늦추고 천천히 복귀하시기 바랍니다.
-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운동을 시작하세요
'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 어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깨 인공관절】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4개월 과정 (0) | 2022.06.01 |
---|---|
【어깨 인대파열 재건술】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6개월 과정 (0) | 2022.05.19 |
【오십견(유착성 관절낭염, 동결견)】시기별 재활운동 16주 과정 (0) | 2022.01.01 |
『전방어깨탈구(관절경 수술)』시기별 재활운동 과정(수술후 ~9개월) (0) | 2020.11.09 |
『전방어깨탈구(방카르트 병변)』시기별 재활운동 과정(수술후 ~12주) (4) | 2020.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