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몸의 기능을 관리하는 기능치료사입니다.
물리치료의 기본 서적 뉴만의 정복을 돕기 위해 최대한 쉽게 설명하려 합니다.
오늘은 근육활성의 유형인 등척성과 동심성, 편심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근육활성의 유형은 임상에서 환자에게 운동을 적용할 때 중요하게 작용하며, 특히 운동의 강도를 정하거나 움직임에서 불충분한 움직임이 나올때 적용 가능한 이론입니다.
근육활성의 유형 3가지
근육은 신경계의 자극을 통해 활성화 됩니다. 이 근육의 활성화는 등척성, 동심성, 편심성 이 3가지 방법을 통해 힘을 생산합니다.
등척성 활성(Isometric activation)
'근육이 일정한 길이를 유지하면서 당기는 힘을 생산할 때 일어난다' 그리스어의 isos는 같다를 metron은 치수 또는 길이를 말합니다. 근육은 힘을 생산할 때 일반적으로 수축하게 됩니다. 수축이란 근육의 길이가 짧아지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나 등척성 활성에서는 근육의 길이가 변하지 않고 힘을 생산합니다. 이는 외적인 힘 즉, 중력이나 치료사의 저항 등의 힘들과 내적인 힘인 근육의 힘이 같아서 발생합니다. 따라서 등척성 활성을 할 때는 근육의 길이가 변하지 않고, 관절의 움직임이 나오지 않습니다.
등척성 활성은 움직임과 통증이 없는 상태에서 진행합니다. 근육을 크게 활성하기 어렵기 때문에 근력 강화를 목적으로 하긴 어렵지만, 관절을 움직이기 어려운 수술 초기에 근위축 방지의 목적으론 좋은 근육 활성 방법입니다.
동심성 활성(Concentric activation)
'근육이 수축하면서 당기는 힘을 생산할 때 일어난다' 동심이라는 말은 "중심 쪽으로 가다"를 의미 합니다. 근육이 활성화 되면 내적인 힘이 외적인 힘보다 강하여 당기는 방향으로 관절의 움직임이 나옵니다.
주로 근력 강화 운동을 목적으로 하며, 근육은 일반적으로 수축하며 힘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동심성 활성을 기본적인 근육 활성 방법이라고 합니다. 외부적인 힘인 중력이나 덤벨 등을 이기며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것을 말합니다.
편심성 활성(Eccentric activation)
'근육이 좀 더 우세한 다른 힘에 의해 길어지는 만큼 당기는 힘을 생산할 때 일어난다.' 편심이라는 말은 "중심에서 멀어지다를 의미합니다. 근육이 활성화 되면 외적인 힘이 내적인 힘보다 강하여 중력이나 저항에 의해 버티는 힘을 냅니다. 저항이 없을 때의 편심성 활성은 중력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같은 관절의 움직임이라도 중력을 고려하면 쉽게 편심성과 동심성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근육의 길이가 제 길이보다 짧아 잘 늘어나지 않을 때 주로 스트레칭 방법으로 치료하지만, 이 편심성 활성을 통해 근육이 늘어날 수 있는 힘을 길러주면 일상 생활에서 근육을 사용할 때 더 효과적입니다. 편심성 활성을 쉽게 하는 방법은 해당 근육에 힘을 준 상태로 천천히 스트레칭을 하면 됩니다.
'강의준비 > 뉴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만 정복하기】 Chapter 2. 인체 관절들의 기본 구조와 기능 : 부동관절, 가동관절(윤활관절) (0) | 2022.06.09 |
---|---|
【뉴만 정복하기】Chapter 1. 소개 : 작용근, 대항근, 협동근 (0) | 2022.05.29 |
【뉴만 정복하기】 Chapter 1. 소개 : 내적인 힘, 외적인 힘 (0) | 2022.05.19 |
【뉴만 정복하기】Chapter 1. 소개 : 관절운동형상학 - 닫힌위치, 느슨한위치 (0) | 2022.05.06 |
【뉴만 정복하기】Chapter 1. 소개 : 관절운동형상학 - 구르기, 미끄러짐, 스핀 (0) | 2022.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