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주
● 목표
- 수술한 관절과 손상 부위 보호
- 통증과 부종 관리
- 통증이 없는 범우에서 관절 가동 범위 운동 실시
- 보조기 착용 후 독립적인 움직임
● 주의 사항
○ 전방 접근 시
- 고관절의 앞쪽 주머니(Anterior capsule)를 스트레칭하는 운동을 하지 않습니다.(보행 시 다리를 필요 이상으로 뒤쪽으로 젖히지 않습니다)
○ 측방 접근 시
- 다리를 90˚ 이상 들지 않습니다.(굴곡, 굽힘)
- 다리를 30˚ 이상 바깥쪽으로 돌리지 않습니다.(외회전, 바깥돌림)
- 다리를 30˚ 이상 뒤쪽으로 젖히지 않습니다.(신전, 폄)
- 수술 다리를 반대쪽 다리 쪽으로 모으지 않습니다.(내전, 모음)
● 염증 관리
- 상처 부위에 얼음찜질을 합니다.
- 다리 밑에 베개나 이불을 넣어 심장보다 다리가 높게 합니다.
- 무릎 밑에만 베개를 두지 않고 발목부터 무릎까지 전체적으로 댑니다.
● 샤워(담당의의 소견이 필요합니다)
- 5~7일이 지난 후에 상처 부위를 방수 패드 등으로 가리고 샤워합니다.
- 수영이나, 상처 부위가 물속에 잠기는 행위는 6주의 시기까지 제한됩니다.
- 손상 정도의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전문의의 소견을 따릅니다.
● 시기별 운동
(1) 굽힘, 폄, 벌림의 수동/능동적인 관절 가동범위 운동을 시행합니다.
- 굽힘 : 90˚까지만
- 폄 : 30˚까지만
- 벌림 : 30˚까지만
(2) Heel slide
(3) Q-setting
(4) Heel raises
(5) Double leg bridge
(6) 복식호흡
(7) 보행
- 보조기 착용 후 앞, 뒤로 천천히 걸어줍니다.
- 통증이 심하거나 많이 불안정할 경우 옆에서 보조합니다.
3~6주
● 목표
- 관절 가동범위의 회복
- 염증 조절
- 정상적인 보행
- 다리 저는 행동이 없을 시 보조기 제거
- 근육 재교육
- 수술 부위 관리
- 손을 짚지 않고 일어서기
- 옆 난간을 잡은 상태로 정상적인 계단 보행
● 주의 사항
- 고관절의 끝 범위 신전(폄, 다리를 뒤로 보내는 행동)과 외회전 (바깥돌림, 다리를 바깥으로 돌리는 행동)을 피합니다.
● 염증 관리
- 상처 부위에 얼음찜질을 합니다.
- 걷거나 운동을 한 다음에 반드시 얼음찜질을 적용합니다.
- 다리 전체적으로 베개나 이불을 넣어 다리를 높입니다.
● 보조기
- 특별히 다리 저는 행동이 없다면 보조기를 제거합니다.(담당의의 소견이 필요합니다)
- 손상 정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담당의의 소견을 따릅니다.
● 근력 운동
(1) 이전 운동을 유지합니다.
(2) 능동적인 관절 가동범위 운동이 가능합니다.
(3) Clamshell
(4) Sidelying hip abduction
(5) Sidelying hip abbuction
(6) Tandem balance exercise
(7) Side stepping
(8) 수영
- 수영은 상처가 완전히 회복됐을 때 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자유형 킥만 가능하고 되도록 물속에서 걷기 운동을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7주 ~
● 목표
- 고관절의 기능적 움직임
- 고관절을 이용한 한 발 서기 가능
- 통증이 없는 기능적 움직임에서 다리 조절 가능
- 정상적인 보행
- 일상생활로 완벽한 복귀(높은 수준의 활동은 담당의나 치료사 소견을 따라주세요)
● 운동
(1) 이전의 운동을 유지합니다.
(2) 균형운동
(3) 특정한 일이나 스포츠 활동으로의 복귀
'수술 후 시기별 재활운동 > 고관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관절 인공관절】수술 후 재활운동 시기별 정리(후방접근) (0) | 2021.01.2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