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준비/뉴만

【뉴만리뷰】Chapter 1. 소개 : 운동학이란?

움직임을 디자인하다 2020. 11. 11. 22:14
728x90
반응형

 

 

 

 물리치료사로서 첫 직장을 잡고 환자와 대면했을 때 두려움과 부족함을 많이 느꼈습니다. 사람 몸에 대해 잘 알지 못했고, 어디가 왜 아프고 어떻게 치료 방향을 잡아야 할지 막막했습니다.

 

 뉴만은 인체에 기본적인 해부학, 운동학, 운동역학, 생리학 등 여러 생체역학적인 부분을 이해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진 책입니다. 뉴만을 기초로 치료 기술들을 쌓아가기 위해 물리치료사인 친구, 직장동료들과 퇴근 후 모여 뉴만이라는 책을 읽고 리뷰하기 시작했습니다. 결과적으로 뉴만을 기초로 하게 되면 여러 치료 기술을 남들보다 쉽게 이해하고 응용하는 데에 있어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주로 신입 치료사들의 기본적인 이해를 위해 만들어지지만 몸에 대해 알고 싶은 누구나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앞으로 잘 봐주시기 바랍니다.

 

 이 글은 뉴만을 기초로 작성되었습니다. 이해가 되지 않거나 어려운 부분은 언제든지 댓글을 달아주세요.

 

 

 


Chapter 1. 운동학

 

뉴만이 말하는 운동학(Kinesiology)이란 무엇인가?

더보기

운동학은 운동을 일으키는 원인인 힘을 고려하지 않고 물체의 계 내에서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고전역학의 한 분야

- 네이버 지식백과 -

Kinesiology의 어원은 움직인다는 kinesis와 학문이라는 -logy가 합쳐진 단어입니다. 따라서 뉴만의 kinesiology는 움직임을 연구한 학문입니다.

 

뉴만의 kinesiology는 근육뼈대계통 내의 '해부학적' 그리고 '생체역학적' 상호작용들에 초점을 맞춰 작성되었습니다.

여기서 생체역학적(biomechanics) 이라는 말은 생체시스템을 이해하기 위해 역학적 원리를 이용하는 학문이며, 주요 주제는 운동학과 운동역학입니다.

 

 

물리치료사는 움직임의 기능적인 부분을 담당하게 됩니다. 구조적인 문제로 인한 비정상적인 상태인 회전근개의 파열, 골절, 연골 손상 등은 수술적인 요법이 필요하지만 움직임의 기능적인 문제로 인한 비정상적인 상태인 관절의 제한, 근육의 불균형,  자세 부정렬 등은 물리치료사의 정확한 평가나 치료계획을 통해 해결돼야 하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이 글은 치료사의 시각으로 기능적으로 비정상적인 상태와 움직임에 대한 설명을 주로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